[사설] 쌀 협상 실리있는 개방안으로

[사설] 쌀 협상 실리있는 개방안으로

입력 2004-04-22 00:00
업데이트 2004-04-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음달부터 우리나라는 미국 중국 호주 등 주요 쌀 수출국들과 쌀 시장 개방 협상에 돌입한다.이들 국가와 개별적으로 올 연말까지 진행되는 협상 결과에 따라 쌀 시장의 개방 수위가 결정되는 만큼 국내 쌀 농업은 중대한 기로에 서 있는 셈이다.

협상의 최대 쟁점은 쌀 시장을 전면 개방하되 국내외 쌀 가격 차에 해당하는 만큼의 관세율을 매기는 ‘관세화’를 시행하느냐,아니면 지금처럼 관세화 유예를 받느냐다.우루과이라운드(UR)협상이후 10년간 우리나라는 관세화 유예조치를 인정받는 대신 국내 쌀 수요량의 일정비율을 반드시 들여오는 최소의무수입물량(MMA)제도를 시행해왔다.협상이 올 연말까지 타결되지 않으면 관세화로 가게 되어있다.국내 쌀 가격이 외국보다 7배까지 비싼 상황에서 관세화로 400%남짓한 관세율을 매겨봐야 외국 쌀과의 가격경쟁은 힘들다.

그렇다고 농민들이 원하는 것처럼 현재의 관세화 유예를 연장하는 게 반드시 유리하다고 볼 수도 없다.쌀 수출국들은 전면 개방을 늦추는 대신 MMA비율을 더 늘려 달라거나 쿼터 배정 등의 다른 요구조건을 내걸지 모른다.다만 중국은 관세화를,미국은 관세화 유예와 다른 부대조건을 각각 요구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이들 양대 쌀 수출국의 대립 구도를 잘 이용해 실리있는 개방안을 관철시켜야 한다.개방폭을 최대한 늦추면서 국내 농업개혁의 시간을 더 버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쌀 협상은 10여년전 전략을 잘 세우지 못해 허둥지둥했던 UR협상이나,결과와 실제 내용이 다른 마늘 협상 파동의 전철을 밟아서는 안 된다.정부는 협상 진행상황을 신속하게 국민들에게 알리고 여론의 결집된 힘을 협상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또 농민이나 농업계가 받아들여야 할 사실은 이제 어느 카드를 선택하든 쌀 시장 개방폭 확대는 불가피하다는 점이다.따라서 무리한 요구보다 피해를 최소화하는 개방안을 수용하고 대비책을 세운다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할 것이다.˝
2004-04-22 4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