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지연… 칠레진출기업 반응

FTA 지연… 칠레진출기업 반응

입력 2004-02-11 00:00
업데이트 2004-02-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번째 도전이라서 이번에는 통과될 줄 알았습니다.비준안이 통과되면 대대적인 마케팅을 펼치려고 준비했는데 또 미뤄지다니 막막할 뿐입니다.”

9일 오전 11시쯤(현지시간)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의 국회 비준이 끝내 유보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칠레 수도 산티아고에 진출한 국내 기업의 법인·지사 관계자들은 일제히 한숨을 내쉬었다.

칠레에는 LG전자,삼성전자,대우일렉트로닉스,현대·기아차,LG상사,삼성물산 등 10여개 업체가 외국기업들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지난 2002년 휴대전화 20만대를 수출한 삼성전자는 지난해 27만∼28만대의 수출실적을 기대했지만 예상치를 밑돌았다.올해는 FTA 비준을 전제로 40만대까지 내다봤지만 계속 미뤄진다면 10만대 이상의 수출차질이 예상된다.

삼성전자 칠레지사 문성원 과장은 “비준안 처리 지연으로 효자품목인 휴대전화가 직격탄을 맞았다.”면서 “침체됐던 남미시장이 기지개를 켜고 있는 이 때 확실히 자리를 잡아야 하는데 관세가 면제된 경쟁제품과 어떻게 싸워야 할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휴대전화·세탁기·냉장고를 수출하고 있는 LG전자는 지난해 9월 산티아고 지사를 법인으로 승격시키는 등 수출확대에 진력하고 있다.그러나 수출비중이 큰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단말기와 세탁기가 미국 월풀·GE나 멕시코 가전업체들보다 가격경쟁력에서 뒤지는 상황이다.특히 프리미엄 가전은 창원공장에서 수출하기 때문에 FTA가 통과되지 않으면 고전이 예상된다.

자동차업계도 다급해졌다.FTA 타결 지연으로 한국산 자동차의 칠레 수출이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는데 당분간 회복이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국산 자동차의 칠레 수출은 지난 96년 4만 5316대였으나 이후 해마다 급격히 감소,지난해에는 2만 3299대에 그쳤다.

한·칠레 FTA 협상이 시작된 98년을 기준으로 비교하면 전년도인 97년에는 4만 3533대로 소폭 감소했다가 98년 2만 6300대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자동차 업계는 이처럼 수출이 급감한 것은 칠레와 FTA를 맺은 프랑스나 아르헨티나,브라질 등이 관세(6%)철폐를 계기로 시장 점유율을 크게 늘린데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특히 이달초 미국·칠레 FTA가 발효된데다 현재 협상을 진행 중인 일본·칠레 FTA마저 타결될 경우 자동차업계의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기아차 산티아고 사무소 윤태현 차장은 “올해 칠레의 경제가 호황이어서 수출목표를 1만대 이상으로 잡고 있는데 비준안 지연으로 인해 차질이 불가피하다.”면서 “올해 시장점유율이 지난해 7%에서 6%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실망감을 나타냈다.

이종락 류길상 김경두기자 jrlee@˝
2004-02-11 3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