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SKT ‘통신왕좌’ 정면충돌

KT SKT ‘통신왕좌’ 정면충돌

입력 2004-01-10 00:00
업데이트 2004-01-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무선 ‘통신 공룡’인 SK텔레콤과 KT가 정면충돌로 치닫고 있다.

그동안 휴대전화인터넷과 위성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등 차기 유망사업에서 ‘신경전’을 벌여온 양사는 번호이동성제를 둘러싸고 해묵은 감정이 끝내 폭발했다.

●‘번호이동성 격전’ SK텔레콤 대 KT

SK텔레콤은 최근 KT가 자사의 영업력과 자금력,인력 등을 기반으로 자회사인 KTF를 지원하는 행위에 대해 정부의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특히 SK텔레콤은 KT의 불법 행위를 더 이상 지켜볼 수 없다며 이동전화 가입자를 받을 수 있는 KT의 재판매 사업권 폐지는 물론 조직분리까지 지적하고 나섰다.

이동번호가 KTF로 쏠림 현상을 보이자 KT가 직원들에게 강제 할당 등의 불법 영업행위를 한 덕분이라는 지적이다.SK 관계자는 “강제 할당 행위가 이뤄지지 않았다면 KT직원들의 불만이 쏟아질 이유가 없다.”면서 “KT가 이통시장의 경쟁질서를 해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KT는 SK텔레콤의 요구가 어불성설이라고 맞서고 있다.SK텔레콤이 번호이동성 실시로 위기감을느끼자 엉뚱하게 KT에 ‘딴죽’을 걸려는 수작이라고 비난했다.KT 관계자는 “이통시장의 혼탁함으로 가장 큰 이익을 얻는 곳은 SK텔레콤밖에 없다.”면서 “이를 위해 KT를 대상으로 삼은 것은 도가 지나친 행위”라고 불쾌해 했다.이어 “번호이동성제의 물타기 작전일 뿐 아니라 KT를 진흙탕 싸움에 끌어들이려는 물귀신 전략”이라고 덧붙였다.

이같은 충돌속에 서로의 약점 보완도 눈에 띈다.SK텔레콤은 그동안 소비자 불만이 컸던 통화품질 실명제를 10일부터 중단키로 했다.KT도 영업직을 제외한 비영업직 사원의 목표 할당을 금지하는 등 ‘크린 마케팅’을 강화키로 했다.

●신규 사업도 직접 충돌

두 강자는 차기 유망사업에서도 한치의 물러섬이 없다.유선업체인 KT는 자회사인 KTF를 활용하고,이동통신 업체인 SK텔레콤은 유선업체인 하나로통신 등과 협력을 꾀하고 있다.통신시장이 유·무선간은 물론 방송 등과의 융합으로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주도권 대상사업은 홈 네트워크를 비롯한 위성DMB,휴대인터넷사업 등이다.

가전기기를 네트워크화하는디지털 홈사업은 KT가 다소 앞서가고,이동방송인 위성DMB는 SK텔레콤이 먼저 가고 있다.SK텔레콤은 일본과 손잡고 다음달 미국에서 위성DMB 사업용 위성을 쏘아올린다.KT는 지난해 뒤늦게 주파수를 확보,사업계획을 짜고 있다.올해 2∼3개 사업자를 결정하는 휴대인터넷은 KT와 하나로통신에 이어 SK텔레콤이 뛰어들어 접전을 벌이고 있다.

김경두기자 golders@
2004-01-10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