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문위원 칼럼] ‘예고된 人災’ 심층분석

[편집자문위원 칼럼] ‘예고된 人災’ 심층분석

임지혜 기자
입력 2003-09-23 00:00
업데이트 2003-09-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며칠 전,학교 학생회관에서 쉬고 있는데 별안간 화재 경보음이 시끄럽게 울렸다.경보가 울리면 황급히 대피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인데도 이상하게 사람들은 별다른 행동을 취하지 않았다.그저 건물 전체에 울리는 소음에 얼굴을 찌푸릴 뿐이었다.누구나 한번쯤은 이런 경험을 해봤을 것이다.화재 경보 오작동이 드물지 않게 발생하기 때문인지,경보음을 듣고 대피하는 사람을 보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마치 ‘양치기 소년’의 거짓말에 속다가 그 소년이 마지막으로 말한 진실은 아무도 믿어주지 않았던 것처럼, 안전을 경계하는 일이 거짓말처럼 돼버린 것이다.이번 태풍 ‘매미’ 역시 마찬가지다.

대한매일 9월16일자 1면에 보도된 ‘마산 예고된 침수’ 기사는 우리사회에 만연한 안전 불감증을 여실히 보여줬다.기사 중 “마산항 매립지의 침수 가능성은 지난 96년 감사원에 의해 이미 지적됐다.”는 사실은 충격일 수밖에 없었다.해마다 수해가 반복됐음에도 불구하고 뒤늦은 복구조치에만 허둥대고,수해 대비에는 소홀했다는 것을 바로 증명하는 것이아닌가.이번 수해가 인재(人災)였음을 명백히 보여준 이 보도는 대한매일과 A일보에서만 유일하게 내보낸 것으로 알고있다.특히 대한매일은 이 기사를 1면에 배치해 중요하게 다뤘는데,타 언론이 이번 수해지역의 피해 상황과 복구 현황만을 전하는 데 급급했던 것과 비교하면 매우 독창적이고 참신한 보도였다고 생각된다.

또 17일자 9면의 ‘전국 3억 7783만㎡ 해안 매립지 제2 마산참사 우려’라는 기사에서는 전국 해안매립지 중 비농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30%가량의 부지 대부분이 방파제 등의 방재시설을 갖추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이는 전날의 마산항 매립지와 관련한 기사가 단발성 보도에 그치지 않고,해안매립지의 방재시설에 대한 전면적인 문제제기에 나서고 있음을 보여준다.이 같은 심층 보도를 찾기 어려운 요즘의 언론 현실에서 눈에 띄는 기사가 아닐 수 없었다.특히 중앙 환경운동연합 관계자가 “피해지역의 매립지 개발실태를 점검한 뒤 매립지 문제를 전국적인 환경 이슈로 쟁점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는 소식은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더불어 ‘마산 참사 정부·市상대 손배소송’ 기사에서 “마산창원 환경연합과 마산 YMCA 등 지역 시민단체들이 매립지 해일피해에 대한 정밀진단을 실시한 뒤 마산시와 해양수산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계획”이라는 소식도 반가운 뒷얘기였다.

이어 19일자 1면의 ‘남해안 50년 새 18번 해일 쑥밭’이라는 제목의 기사도 눈에 띄었다. 국립방재연구소 해일연구팀의 보고서를 인용, 지난 50년 간 해일로 인한 피해사례를 다룬 이 보도에 따르면 경남 해안지역은 59년 태풍 ‘사라’부터 ‘셀마’,‘루사’ 때도 모두 태풍 ‘매미’와 유사한 해일 피해를 겪었다.특히 전문가들은 “이번 태풍 매미가 가져온 피해의 80% 이상이 해일에 의한 것”이라고 밝혔는데,이에 비춰볼 때 해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신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때문에 ‘매미’가 해일로 인한 예상된 수해였다는 것을 밝힌 대한매일이 앞장서서 문제 제기 및 여론 형성을 꾸준하게 해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언론의 역할은 단순한 사건 보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번처럼 사회의 문제점을 이슈화하고,독자와 함께 해결책을 강구해 나가는 것,그것이기 때문이다.

임 지 혜 명지대신문 前편집장
2003-09-23 1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