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황덕남 법무비서관 왜 사표 냈나

청와대 황덕남 법무비서관 왜 사표 냈나

입력 2003-08-27 00:00
업데이트 2003-08-2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언론소송’을 전담해온 황덕남 (사진) 청와대 법무비서관이 갑작스레 사표를 제출한 배경을 두고 논란이 일자 청와대가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윤태영 대변인은 26일 “황 비서관이 ‘개인적인 사유다.쉬고 싶다.’고 밝혔다.”고 설명했다.그러나 문책성이 아닌데도 정부출범 초기에 1급 비서관이 사표를 제출한 사례가 거의 없어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왜 쉬고 싶었을까

황 전 비서관은 판사로 15년간,변호사로 5년여 동안 활동해 사회적 기반이 탄탄했던 상태였다.그러나 그는 “나라에 봉사해 보자.”며 변호사보다 처우가 나쁜 청와대 2급 비서관직을 수락했다.반면 사시(23회) 동기인 강금실 변호사는 법무장관,후배인 박주현 변호사는 국민참여수석에 임명됐다.

김대중 정부 시절,법무비서관은 민정수석과 맞먹는 막강한 지위와 역할이 있었다.그러나 참여정부의 법무비서관은 그 권한이 대폭 축소돼 언론소송과 법률자문역에 국한됐다.그런만큼 황 전 비서관이 자신의 역할에 만족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얘기다.

무엇보다 황 전 비서관을 가장 괴롭힌것은 청와대 측근들과의 ‘코드’였다는 후문이다.그는 민정수석실 핵심 비서관들과의 대화자리를 피하기도 했다고 한다.

문재인 민정수석은 ‘노무현 대통령의 언론사 소송과 관련해 일처리가 매끄럽지 못해 사표를 썼다.’는 해석도 있다고 하자 “상관없는 일이다.그 문제에 관해 책임질 일이 있으면 내가 져야 한다.”고 말했다.

●‘코드’ 맞추기 어렵다

황 전 비서관의 사표로 ‘코드’와 ‘충성도’를 중요시하는 청와대내 386측근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도 제기됐다.선대위 출신의 한 관계자는 “청와대에 갈수록 핵심과 비핵심의 차이가 커진다.”면서 “비핵심들의 소외감이 수그러들지 않는다.”고 털어놓았다.

이른바 ‘코드’가 맞는 사람들끼리 몰려다니고,의사결정에서 배제되는 일들을 겪다보면 열심히 노력해도 한계를 깨닫게 된다는 것이다.‘외인부대’인 송경희 국내언론 비서관이나 양길승 전 제1부속실장 등은 현직을 떠날 때 “정치를 너무 몰랐다.”는 말로 청와대 생활의 어려움을 표현하기도 했다.황 전 비서관도 최근 지인들에게 “청와대에서 정치를 배워보려고 했는데 정말 모르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문소영기자 symun@
2003-08-27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