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게임 언제 어디서든 마음대로/휴대인터넷을 잡아라

영화·게임 언제 어디서든 마음대로/휴대인터넷을 잡아라

입력 2003-08-26 00:00
업데이트 2003-08-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간 제약없이 이용 가능한 휴대인터넷이 유·무선 융합시대를 맞아 무선인터넷 시장을 주도할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

정보통신부는 올 연말까지 휴대인터넷의 주파수 할당(사업자 선정) 등 사업허가와 관련한 기본틀을 정하기로 하고 지난 달부터 상용화 시기 등을 저울질하고 있다.정통부는 상용화시기 결정에 이어 2∼3개 사업자를 선정할 방침이어서 시장선점을 노린 통신업체들의 물밑 주도권 싸움이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휴대인터넷이란 질이 좋은 2.3㎓ 주파수 대역을 이용,노트북PC나 PDA(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달리는 차량 등에서 고속으로 무선인터넷을 즐길 수 있는 차세대 유·무선통합 서비스다.현재 서비스 중인 이동통신 및 무선랜의 장점을 살린 대체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휴대인터넷의 파괴력은 KT의 ‘넷스팟’ 등 무선랜 서비스와 ‘cdma2000 1x EV-DO’,올 연말 시범서비스 예정인 ‘IMT-2000’ 등 이동통신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속도성과 이동성이 상대적으로 뛰어나다는 점에서 나온다.즉 공간에 관계없이 달리는 자동차 안에서 영화나 게임을 즐길 수 있고 요금도 기존 이동통신의 10분의 1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휴대인터넷이 조금 진화하면 두 서비스 영역을 포괄할 수 있게 된다.

휴대인터넷 시장에 대한 이같은 기대감은 관련 업체의 관심으로 나타나고 있다.KT·하나로통신 등 유선업체와 SK텔레콤 등 무선 통신업체는 지난해 말부터 주파수를 받기 위한 시연회를 여는 등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통신서비스 융합시대를 맞아 이동통신 서비스시장에 진출하려는 유선업체들의 관심이 더 큰 편이다.무선사업자들은 기존 이통사업과 겹친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SK텔레콤은 서비스 중인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투자금 회수와 차세대 이동통신인 ‘IMT-2000’ 서비스를 앞두고 있어 휴대인터넷의 조기 상용화를 반대해 왔다.그러나 앞으로 전개될 시장성을 감안해 주파수 확보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최근 정통부가 ‘기간통신사업자 허가기준안’ 개정과정에서 기업의 신용평가 배점을 대폭 높일 것이란 소식이 흘러나오자 이번엔 하나로통신과 데이콤 등 후발사업자들의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업계 일각에선 휴대인터넷 상용화의 걸림돌도 적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서비스 차별성이 크지 않아 중복투자를 유발할 가능성이 다분하다는 것.휴대인터넷의 상용화가 ‘IMT-2000’사업의 발목을 잡을 것이란 주장도 나오고 있다.휴대인터넷이 이래저래 당분간 업계의 화두가 될 전망이다.

정기홍기자 hong@
2003-08-26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