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정전사태 도리어 藥 ?

美정전사태 도리어 藥 ?

입력 2003-08-19 00:00
업데이트 2003-08-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워싱턴 백문일특파원|미 동북부지역의 정전사태로 입은 경제적 손실은 10억달러에서 최고 50억달러까지로 추정된다.‘검은 목요일’로 식당과 호텔,항공업계의 피해가 가장 컸고 도·소매점들의 매상도 떨어졌다.그러나 경기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꼭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장기적으로 이번에 취약점이 드러난 전력산업에 대한 투자가 일어나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

엘리베이터나 찜통 지하철에 갇혔던 개개인들의 충격은 9·11테러를 연상시킬 만큼 컸던 게 분명하다.그러나 심리적 충격과 소비자의 행동은 별개이며,전력공급이 재개되면서 소비자들의 심리가 과거와 달리 흔들리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뉴욕에서 “정전사태에서 살아났다.”는 문구가 쓰여진 13달러짜리 티셔츠가 다음날 불티나게 팔린 사실은 소비가 죽지 않았음을 뒷받침한다.

시사주간 뉴스위크는 최신호(25일자)에서 정전사태에도 불구,소비자들의 욕구가 변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특히 개학을 앞둔 10대들의 소비 욕구는 하루,이틀 미뤄졌을 뿐 매출에는 변화가 없을것으로 전망됐다.

경제학자들은 가장 큰 피해자로 주정부와 지방정부를 꼽았다.경찰과 소방관 등의 비상근무로 초과수당에 대한 지출과 판매세 등의 세금감소는 예산운영의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뉴욕시의 경우 5억달러의 수입 결손이 생겨 연방정부의 도움을 요청했다.

노던 트러스트의 경제학자 아사 반갤로는 “이번 주 초까지도 정상을 찾지 않는다면 문제가 되겠지만 정전사태는 폭풍이나 눈보라와 같은 일시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아메리카은행의 수석 경제학자 린 리서도 “경기회복에는 중대한 파장이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오히려 전력산업 개편 논쟁이 일면 어떤 방식으로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투자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이는 장기적으로 경기에 긍정적일 수밖에 없다.

mip@
2003-08-19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