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북, ‘협박’태도는 버려야

[사설] 북, ‘협박’태도는 버려야

입력 2003-05-22 00:00
업데이트 2003-05-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평양에서 개최중인 제5차 남북경제협력추진위가 파행을 겪고 있다.북측이 그제 첫날 회의에서 기조발언을 통해 한·미정상회담 합의 내용을 문제삼으며 협박성 발언을 했기 때문이다.이에 남측이 엄중 항의하며 ‘적절한 조치’를 요구했으나 북측의 사과가 없어 어제 이틀째 회의가 제대로 열리지 못했다.먼저 한·미 정상회담 이후 처음 열리는 남북대화라는 점에서 대내외의 비상한 관심을 모은 경추위가 진통을 겪고 있어 심히 유감스럽다.

남북은 이번 경추위에서 치열한 공방을 벌일 것으로 처음부터 예견됐다.북측이 ‘한반도 위협시 대북 추가조치 검토’ 및 ‘북핵 전개상황과 남북교류·협력사업의 연계 방침’ 등 한·미간 합의 내용에 강력 반발하며 진의를 따질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하지만 북측의 태도는 적정한 선을 넘었다는 게 우리의 판단이다.“남측이 핵문제에 추가적인 조치라며 대결방향으로 나간다면 북남관계는 영(零)이 될 것이며,남쪽에서 헤아릴 수 없는 재난을 당하게 될 것”이라는 말은 9년전 ‘서울 불바다’의 발언을 떠올리게한다.툭하면 ‘민족공조’를 내세우면서 마음에 들지 않으면 화풀이식 막말을 하는 북측의 자세는 바뀌어야 한다.북한 방송이 비보도 원칙을 깨고 북측 대표의 기조발언을 공개한 것도 남측을 자극하려는 계산된 행동으로 여겨진다.

다만 우리는 남과 북 모두 이를 빌미로 대화 자체를 파탄시켜서는 안 된다고 본다.한·미에 이어 미·일(23일),중·일(31일),미·중(6월초) 정상회담이 릴레이식으로 열리는 중대한 시기에 남북관계가 경색되는 것은 관련국들의 대북 압박을 자초할 수 있다는 점을 북측은 인식해야 한다.북측은 협박성 발언을 삼가고,남측에 솔직하게 대북지원과 경제협력을 요청해야 한다.남북은 오늘 마지막날 회의에서 당초의 경협의제로 돌아가 실질적인 협의를 하기를 촉구한다.아울러 정부도 대북 쌀지원은 인도적 차원에서 분배 투명성 보장을 전제로 10만t씩 나눠 지원하는 등 구체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2003-05-22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