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 틱 낫한 스님이 말하는 ‘힘’

방한 틱 낫한 스님이 말하는 ‘힘’

입력 2003-03-17 00:00
업데이트 2003-03-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살점 하나 없는 뼈다귀를 왜 물고있나 마음을 열고 내안에 잠들어 있는 힘을 깨우자

‘入此門內莫存知解’(입차문내막존지해)

해방 직후인 1947년 성철,청담 스님 등 당시 젊은 스님 20여명이 ‘오로지 부처님 뜻대로 살아보자.’며 불교 개혁의 의지를 다진 이른바 ‘봉암사 결사’로 유명한 경북 문경 봉암사 태고선원의 편액이다.

‘이 문을 들어서는 순간 모든 알음알이를 버리라.’는 뜻의 이 편액은 참선 수좌들의 수행정진을 다그치는 대표적인 경구지만,속인들의 욕심과 아집을 경계하는 상징으로도 회자된다.

본국의 박해를 피해 세계를 다니며 비폭력 평화운동을 펴는 베트남 출신 틱 낫한 스님이 프랑스 보르도에 세운 수행공동체 플럼빌리지에도 비슷한 문구가 걸려있다.“지금 이 순간 하느님의 왕국을 보지 못한다면 앞으로도 절대 하느님의 왕국을 만날 수 없다.지금 이순간 정토를 보지 못한다면 앞으로도 절대 정토를 만날 수 없다.”

16일 16명의 승려,7명의 재가자와 함께 방한한 틱 낫한 스님이 직접 쓴 붓글씨로,세계 각국에서 고통받다가이곳을 찾아든 사람들이며,수행자들이 매일 매일 가슴에 새기는 글이다.미래의 허황된 욕심만을 좇다가 좌절한 이들,그리고 진정한 의미의 깨달음을 구하는 수행자들에게 욕심을 버리고 지금 이순간에 충실할 것을 권하는 글로 태고선원의 편액과 맥을 같이한다.

이 붓글씨는 틱 낫한 스님이 역설하는 깨어있는 마음,즉 마인드풀니스(mindfulness)사상을 그대로 보여준다.틱 낫한 스님은 줄곧 강조한다.“현대인들은 강력한 힘을 원하지만,부와 명예로 대표되는 세상의 힘은 우리의 삶을 안정되고 평화롭게 만들기보다 일과 시간에 쫓기는 노예로 만든다.만족할 줄 모르는 욕망에 쫓겨 삶을 허비하느라 아이의 미소,푸른 하늘 같은 눈앞의 기적을 알아보지 못한다.진정한 행복이 아닌 것들은 그만 벗어버리자.그리고 마음을 열고 내안에 잠들어있는 힘을 깨우자.”

틱 낫한 스님의 방한에 맞춰 국내에서 처음 출간된 ‘힘’(power,명진출판)은 스님의 마인드풀니스 사상을 현대인들에게 익숙한 ‘힘’이라는 키워드로 풀어낸 책으로 눈길을 끈다.

“연극하는 사람들을 보면 다른 역할을 상징하기 위해 흔히 모자를 바꾸어 쓴다.일은 우리가 쓰고 있는,또는 쓸 수 있는 많은 모자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삶에서 중요한 것은 삶을 사는 일,즉 지금 이순간에 들어있는 행복을 오롯이 맛보는 일이다.”

스님은 책에서 줄곧 “멈추는 방법을 배우고 나서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이 있다.”고 주장한다.“어딘가에 도착하기 위해서 걷는다면 당신은 걸음과 그 순간을 희생시키는 것이다.삶은 그저 걸음일 뿐이다.삶은 다만 길이다.”

쉼 없이 욕망을 좇는 현대인들은 ‘뼈다귀 좇는 개’로도 비유된다.개는 살점이 하나 없는 뼈다귀를 던져줘도 열심히 쫓아가서 씹는다.개는 뼈다귀에서 아무 것도 얻지 못하지만 여전히 뼈다귀에 매달린채 절대 놓지 않는다.욕망에 대한 우리의 태도도 이와 비슷하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내 수행은 수행을 하지 않는 수행이다.”라고 했다.“‘빨리 빨리’를 외치는 성급함은 사실 핵무기만큼의 파괴력과 모르핀만큼의 중독성을 지니고 있다.”고 역설하는 스님은 우리의 삶에서 가장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곱씹게 만든다.틱 낫한 스님은 20일간 머물면서 서울 부산 대구 광주에서 강연을 하고 수행공동체와 사찰을 방문할 예정이며 일반인과 함께 ‘평화염원 걷기명상’도 한다.

김성호기자 kimus@
2003-03-17 2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