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 알레르기 비염

[건강칼럼] 알레르기 비염

강명자 기자
입력 2003-03-10 00:00
업데이트 2003-03-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의학 고서에 보면 ‘정기존내 사불가간(正氣存內 邪不可干)’이란 말이 있다.정기(인체의 바른 기운)가 몸 안에 있으면 사기(나쁜 기운)가 함부로 침범할 수 없다는 뜻이다.말인즉,인체의 면역력이 강하면 병에 잘 걸리지 않는다는 말이다.건물의 보안시스템이 철저하면 도둑이 침범할 수 없다는 이치와 같은 것이다. 요즘같은 환절기만 되면 반복적인 콧물,코막힘,재채기 등의 증상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많다.이런 비염 환자를 대하면 생각나는 말이 앞에서 인용한 ‘정기존내 사불가간’이다.한방에서는 알레르기성 비염을 ‘분체’나 ‘비구’라 한다.원인은 면역력이 약해진 틈을 타서 ‘풍한(風寒)’이 몸속으로 들어와 발생하는 것이다.

평소에는 잠잠하다가도 계절이 바뀔 때나 혹은 과로한 다음날 아침에 정신 없이 콧물과 재채기가 나오는 것이 바로 알레르기성 비염의 특징적인 증상이다.

치료방법도 ‘정기(正氣)’를 돕고 몸 속에 잠복한 ‘풍한’을 몰아내는 처방을 사용한다.대표적인 치료 처방으로 ‘통규탕(通竅湯)’이나 ‘소청룡탕(小靑龍湯)’,‘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을 들 수 있다.개인의 체질과 증상에 따라 약재를 첨가하여 투여한다.때때로 침 치료도 겸하는데,최근에는 한약재에서 추출한 약액을 혈자리에 주입하는 약침요법을 사용하기도 한다.이런 방법 외에 보조요법으로는 비염을 치료하는 한약 추출액과 아로마 향을 혼합하여 비강 점막에 직접 뿌려주는 방법도 있다.모두가 몸에 든 ‘사기’를 다스리기 위한 처방이다.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평소의 생활환경을 바꾸는 것이다.꽃가루가 많을 때는 창문을 닫고,외출때는 마스크를 사용한다.에어컨이나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또 이불이나 침대커버를 자주 세탁하고,가습기 등을 이용해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면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정기’를 바로 해 ‘사기’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강 명 자

꽃마을 한방병원장

2003-03-10 2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