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하철은 ‘事故鐵’

대구 지하철은 ‘事故鐵’

입력 2003-02-19 00:00
업데이트 2003-02-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구 지하철이 대형사고와의 악연을 끊지 못하고 있다.첫삽을 뜰 때부터 이날까지 사고로 얼룩진 ‘수난의 길’을 줄곧 걷고 있기 때문이다.시민들이 지하철을 ‘사고철’이라고 부르는 것도 무리가 아닐 정도다.

지난 1991년 12월 착공 직후인 이듬해 1월16일 1호선 6공구 공사장의 지지대가 무너지면서 인부 1명이 다친 사고는 대형참사의 서곡이었다.

95년 4월28일의 상인동 지하철 1호선 도시가스 폭발사고는 지금도 온 국민의 뇌리에 생생하게 남아 있다.

지하철 공사장에서 30m 떨어진 대백플라자 신축공사장 인부의 조그마한 실수로 도시가스 배관에 구멍이 뚫려 가스가 누출,공사장으로 유입돼 대형 폭발사고가 일어난 것이다.

출근시간 ‘꽝’하는 소리와 함께 무려 101명의 귀중한 인명이 유명을 달리했고 101명이 부상을 입는 대형 사고였다.

같은 해 8월5일에는 1호선 12공구 공사장에서 폭약이 터져 4명이 숨지거나 중경상을 입었고 지난해 1월22일에는 지하철 2호선 공사장인 신남네거리에서 복공판 붕괴로 시내버스가 지하로 추락,4명의 사상자를 냈다.95년 터진 상인동 가스폭발사고의 상처는 아직도 남아 있다.한꺼번에 51명의 학생이 희생된 영남중학교에는 그날의 아픔을 달래기 위해 위령비가 세워져 있고,부상을 입은 상당수의 시민들은 아직도 병상에서 아픈 기억을 지우지 못한다.

특별취재반
2003-02-19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