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평가 하상일씨 평론집 ‘타락한 중심을 향한 반역’

비평가 하상일씨 평론집 ‘타락한 중심을 향한 반역’

입력 2003-01-31 00:00
업데이트 2003-01-3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몇몇 특권화된 엘리트들에 의해 대부분의 문학담론들이 독점·유포되고 있고,객관적이고 엄정한 기준에 의한 문학적 평가보다는 인정주위에 기반한 불합리한 요인들이 작품의 성패를 결정짓는 부정적 시스템이 더욱 노골화하고 있다.”

젊은 비평가 하상일(사진).이제 갓 30대 초반인 그는 평단의 ‘반골’로 통한다.그가 지난해 일단의 동조자들과 함께 이른바 ‘주례사 비평’을 통해 비평의 문제를 직설적으로 제기한 이후 붙은 별명이다.

이런 점에서 하상일이 최근에 펴낸 평론집 ‘타락한 중심을 향한 반역’(새움 펴냄)은,그가 주장해 온 논지의 한 축인 ‘중심의 타락과 균열’이 어떤 현상을 근거로 해서 추출된 규정인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잣대가 된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그는 책의 제목으로 차용한 ‘반역’이라는 단어의 뉘앙스부터 짚고 들어간다.‘반역’이라는 말에는 ‘어딘가 모르게 불순함을 내포하고 있다는 인상’이라는 그는 “‘반역’은 곧 ‘불순함’이라는 자동화된 인식을 강요하는 타락한 중심의 세계속에 여전히 갇혀있는 한 비평의 미래는 암담할 뿐”이라고 말한다.

이런 관점에서,그는 이른바 문단의 메이저 매체인 ‘문학과 사회’‘창작과 비평’‘문학동네’를 거론하고 이 매체 편집위원들이 갖는 문화적 특권의식과 인정주의에 입각한 작품의 과대포장,출판사의 마케팅 전략에 편승한 비평의 상업화와 지나친 텍스트주의가 빚어내는 해설편향성 등을 ‘평단의 병폐’라고 못박는다.

평론가 남진우가 2001년 ‘문학동네’ 가을호에 기고한 ‘문학권력 논쟁에 대하여’에 대한 하씨의 반응도 싸늘하다.그는 ‘문학권력 비판 담론의 상당수가 불량품의 생생한 실례’라는 남씨의 지적에 대해 “그의 말대로라면,그의 글은 ‘정품’이어야 하는데 오히려 내게는 자가당착을 지닌 ‘불량품’으로밖에 읽히지 않는다.”고 맞받아치고 있다.

그는 이런 판별식으로 최영미의 베스트셀러 시집 ‘서른,잔치는 끝났다’를 해부한다.우선 이 시집의 출간을 “‘탈정치의 세속화’를 가속화시킨 상업적 전략과 암울했던 80년대를 회고하는 화자와 독자의 절묘한 만남에 의해 너무도 쉽게베스트셀러 대열에 합류한 문학적 사건”으로 규정한다.이어서 “최씨의 시가 힘겨웠던 80년대 운동권 시절의 체험을 뒤돌아보는 ‘포즈’를 취하고 있을 뿐,결코 80년대의 아픔을 진지하게 반성하는 ‘진지성’을 지니고 있지 않다.”며 비판의 고삐를 죈다.

출간 당시 ‘성에 대한 억압과 공적 영역의 억압을 직정적으로 돌파함으로써 90년대적인 전체성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은 최씨의 시 ‘마지막 섹스의 추억’에 대해 하씨는 “철저하게 세속적 지향을 드러낸 어설픈 퍼포먼스”라고 평가하고 “그것이 민족문학 진영에서 나온 결과란 점에서 사뭇 충격적”이라고 토로하고 있다.

이처럼 최씨의 작품을 평가절하하는 비판의식의 저변에는 두개의 축이 존재한다.하나는 ‘세속성 지향’을 우리 시단이 당면한 본질적 문제로 보는 시각이고,다른 축은 메이저 매체의 상업성이 특정 작품을 ‘과대포장’하고 있다는 의구심이다.물론 여기에 일부나마 평단의 ‘노력동원’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도 그의 시각이다.이런 ‘세속성’과 ‘노력동원’을 근거로 해서 그는 ‘최씨의 시가 80년대를 뒤돌아 보는 반성이 아니라,90년대를 향한 전략이었다.’는 결론을 추출해 낸다.

하씨가 작가 이문열을 두고 “문화적 특권주의에 기반하여 ‘문언유착’의 전형적 실체를 유감없이 펼쳐 보이고 있다.”거나 일련의 논쟁 과정에서 드러난 이씨의 말을 두고 ‘기만의 수사학’이라고 선을 그은 것도 이런 그의 비평의식과 무관하지 않다.

그의 숨가쁜 ‘반역’은 이윽고 그가 ‘부당하게 소외받는다.’고 위로하는 양왕용·정익진 등 이른바 ‘주변부 시인’들의 언저리에서 다리를 푼다.‘지역에서 묵묵히 시작활동을 한다.’는 이들의 작품을 통해 주변성의 문제가 우리 사회의 새로운 중심담론으로 떠오르기를 바란다는 희망과 함께.

그의 ‘소리’가 당장 문단의 질서를 바꿀 것으로 믿는 사람은 거의 없다.그가 ‘강한 것을 쳐서 스스로 강해지고자 한다.’는 병법적 논리에 빠져 있다거나,자신의 주변부에 대한 과도한 집착이 또다른 ‘주례사비평’의 한 단초는 아닐까라는 의혹이 존재하는 한 그렇다.그러나 분명한 것은 그의 소리가 결코 그만의 소리가 아니라는 점이다.

심재억기자 jeshim@
2003-01-31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