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기관 분석 왜 빗나갔나/ 문제만 보고 점수 상승 예단

입시기관 분석 왜 빗나갔나/ 문제만 보고 점수 상승 예단

입력 2002-11-08 00:00
업데이트 2002-11-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능 시험 당일 일제히 평균 10점 안팎의 점수 상승 전망을 내놓았던 입시전문기관들은 7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표본채점결과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예년에도 입시기관들의 예상점수와 실제 점수 간에 차이가 있었고,입시기관들간에도 의견이 엇갈린 경우가 있었으나 이번처럼 모든 입시기관이 약속이나 한 듯 똑같이 잘못된 분석을 내놓은 적은 드물었다.입시기관들은 오판의 가장 큰 원인을 전날 단순히 시험문제만을 놓고 지난해와 난이도를 비교한 데에 두고 있다.지난해 수능과 비교했을 때 문제가 쉬웠기 때문에 전년 대비 성적이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는 설명이다.고려학력평가연구소 유병화 실장은 “언어영역 외에 나머지 영역들은 예년보다 쉬운 문제들이어서 이 정도 수준이면 당연히 점수가 올라갈 것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입시학원 특성상 재수생들 위주로 분석할 수밖에 없는 한계도 원인으로 꼽힌다.실제 이번 시험에서 재수생은 상당수가 지난해에 비해 성적이 오른 것으로 파악됐다고 입시기관들은 입을 모았다.대성학원 이영덕 평가실장은 “재수생은 상·중·하위권 관계없이 골고루 점수가 올랐다.20∼30점까지 점수가 오른 재수생도 꽤 있다.”고 전했다.

재학생의 학력저하가 예상보다 심각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종로학원 관계자는 “재학생들이 새로운 유형의 문제에 적응을 제대로 못한 것 같다.”면서 “이번 재학생들이 지난해 재학생들보다 실력이 낮은 것도 점수하락의 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입시기관들은 올 시험문제가 단순암기보다는 종합적인 사고력을 측정하는 좋은 문항들로 구성됐다는 점을 들어 난이도 자체에는 별다른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다.“학원에서 배운 내용이 통하지 않는다.”는 얘기가 수험생들 입에서 나오고 있는 것도 달라진 출제 경향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했다는 점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순녀 박지연기자 coral@

2002-11-08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