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쫓기 갈수록 힘들어요”

“새 쫓기 갈수록 힘들어요”

입력 2002-08-13 00:00
업데이트 2002-08-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들이 공항 환경에 익숙해져 다루기가 몹시 힘듭니다.”

새가 비행기 유리창에 부딪히거나 엔진 속으로 빨려들어가 항공사고를 일으키는 이른바 ‘버드 스트라이크(Bird Strike)’를 방지하는 인천국제공항 조류충돌예방대는 요즘 고민중이다.

예방대는 개항초 공항지역에 들어온 새를 잡기보다는 외곽지역으로 내쫓는데 주력했다.조류협회나 환경단체 등의 반발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즘은 새들이 사람이나 공항 시설물에 익숙해지는 ‘학습효과’가 생겨 경보기 등으로 쫓는 데 애를 먹고 있다.따라서 개항초보다는 엽총으로 새를 잡거나 공포탄으로 새를 쫓는 빈도가 늘고 있다.그러나 총소리는 공항이용객들에게 불안감을 줄 우려가 있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실정이다.

21명으로 구성된 예방대는 3교대 24시간 공항 내부를 순찰하며 새들을 쫓거나 잡고 있다.텃새인 까치·참새 등이 주로 활동하는 봄·가을에는 하루 5∼6마리,제비·갈매기 등의 철새가 도래하는 여름·겨울에는 10여마리씩 잡고있다.특히 까치는 쫓아내면 곧바로 다시 찾아오는 골치아픈 존재여서 사살대상(?) 1호다.이같은 노력 때문인지 아직까지 인천공항에서 버드 스트라이크가 단 한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환경단체들은 공항이 들어선 이후 영종도를 찾는 새들이 크게 줄어들었다고 걱정한다.한국조류연구소의 조사 결과 국내 4대 철새도래지 가운데 하나인 영종도에는 공항건설 전만 해도 20여종 2만여마리의 철새가 찾았으나 최근에는 1만마리 이하로 감소했다.

인천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항공에 접근한 새를 잡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영종도에 새가 줄었다는 것은 그만큼 생태계가 파괴되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
2002-08-13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