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뷰]월드컵 한국, 그 붉은 신화

[월드컵 뷰]월드컵 한국, 그 붉은 신화

오봉옥 기자
입력 2002-06-21 00:00
업데이트 2002-06-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늘의 역사가 내일의 신화가 된다.이런 점에서 한국 축구팀은 모두가 다 신화의주인공이지만 그 중에서도 역시 최고는 히딩크 감독이다.

사실 월드컵이 시작될 때만 해도 우린 은근히 두려웠다.우리 대표팀이 1차전에서탈락하여 월드컵 열기가 너무 일찍 시들해지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에서였다.손님들을 초대해 놓고 우리가 ‘모르쇠’한다면 그거야말로 실례 아니던가.하지만 히딩크 감독은 1년6개월 만에 한국팀을 최고로 끌어올렸다.기적은 여기에서 시작됐다.신화는 여기에서 시작됐다.

세상이 바뀌었다.거리마다 붉은 바다가 출렁인다.‘레드 콤플렉스’에 익숙해 있는 우리에게 ‘비 더 레즈(빨갱이가 돼라)’라고 외친다.그 신성한 태극기가 두건이 되고,치마가 된다.어떤 이는 태극기를 슈퍼맨처럼 망토로 걸치고 길거리를 배회한다.

애국가는 또 어떠한가.즐거운 영화 한편을 보러 가서도 부동자세에 경건한 마음으로 애국가를 불러야 했던 우리에게 어깨동무를 하고 덩실거리면서도 부를 수 있는노래,발을 동동 구르고 춤을 추듯 하면서 부를 수도 있는 노래임을 확인시켜준다.더 이상 그들에게 애국가와 아리랑은 엄숙하고 구슬픈 노래가 아니다.

‘히딩크 현상’은 사회 곳곳에서 계속된다.히딩크같은 정치인을 보고 싶다고 외친다.‘히딩크 경영학’이 생기고 히딩크 식 ‘파워 프로그램’이 일반인의 건강과 체력단련에 응용된다.

‘히딩크 현상’은 이제 가정의 식단까지를 바꾼다.맵고 짠 음식이 아니라 ‘싱거운 가정식’이 그것이다.

‘히딩크 신화’의 밑바탕에는 ‘붉은 악마’라는 너무도 싱싱한,밝고 명랑한 세대가 있다.

그들은 전 세대가 가진 이념이나 종교·정치·지역이라는 굴레의 틀을 훌훌 벗어버리고자 한다.그들은 신화를 기다려왔고,이제 그 신화를 통해 자신들을 설명하고자 한다.‘히딩크 신화’에 당파나 지역갈등이 있었던가.강인한 생존 의지를 통해팀을 결속시키고 통합시켰을 뿐 거기엔 그 어떤 분열도,균열도 없었다.

‘히딩크 신화’의 마무리는 ‘낡고 병든 것’에 종언을 고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종언의 역사가 펼쳐지고 새로운 역사가 시작되는 것이어야 한다.우리의 가슴 벅찬 세대는 단합된 힘을 과시하면서도 그 어떤 불상사도 일으키지 않았다.질서정연한그들은 벌써 다음 경기를 준비하고 있다.

붉은악마는 우리 4800만을 하나로 묶어냈다.불과 20여일만의 일이다.한국팀은 우승후보들을 차례로 꺾는 진짜 강팀이 되었다.불과 1년6개월만의 일이다.

히딩크와 한국팀 선수들은 영웅이 되었다.영웅이라고 해서 고대나 중세의 영웅이아니다.그들은 현대의 표상에 맞게 평범한 사람들일 뿐이다.

하지만 누가 알랴.그들을 향한 아름다운 우리의 기억이 전설을 만들어내고,그로 인해 그들에 대한 기억이 이야기에 실려 먼,먼 훗날까지 하나의 신화로 퍼져갈는지.

오봉욱/시인
2002-06-21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