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여론의 허실

[씨줄날줄] 여론의 허실

곽태헌 기자
입력 2002-03-20 00:00
업데이트 2002-03-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요즘에는 정치·경제·사회·문화·스포츠 등 거의 모든분야에서 여론조사가 이뤄지고 있다.특히 올해에는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가 있기 때문에 선거와 관련된 여론조사가많다. 민주당의 대통령후보를 선출하기 위한 경선이 시·도별로 이뤄지고 있으나,뚜껑을 열어본 결과는 언론사의사전 조사와는 차이가 적지 않다.무응답이 많은 데다 자신들의 본심과는 다른 응답을 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인 듯하다.

‘아’ 다르고,‘어’ 다르다는 말처럼 질문은 비슷한 듯해도 결과는 다를 수 있다.세계 2차대전중인 1939년 미국에서 조사한 것을 보자.‘전쟁이 끝나기 전에 미국이 전쟁에 가담하리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그렇다.

’는 41%,‘아니다.’는 33%였다.하지만 ‘미국이 전쟁에참가하지 않는 데 성공하리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그렇다.’는 44%,‘아니다.’는 30%였다. 어떻게 질문하느냐에 따라 상반된 결과가 나온 것이다.

여론조사 결과를 자신들의 활동 목적을 위해 이용하려는경우도 없지 않다.민주노총은 최근 발전소 민영화와 관련한여론조사를 했다.‘화력발전소를 국내 대기업이나 외국자본에게 팔고 그들로부터 전기를 쓰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반대’는 81%였다.본래 국민들은 재벌이나 외국자본에 대해서는 비판적이다.그래서 이러한 조사에 대한 결과는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지난해 국정홍보처가 주 5일제 근무제를 조사한 것도 비슷하다.‘법정근로시간을 줄여 주 5일만 근무하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찬성’은 74%였다.수입이 줄지 않는다면주 5일 근무제를 마다할 사람이 얼마나 될까.

요즘 고등학교 평준화 문제가 불거지고 있으나 주무부처인 교육인적자원부는 “여론은 평준화에 찬성한다.”는 입장이다.공부 잘하는 학생보다는 그렇지 않은 학생이 더 많기 때문에 평준화 유지를 지지하는 층이 많을 수 있다.민주주의 사회에서 여론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여론결과만을금과옥조처럼 여기는 것도 문제다. 내용을 정확히 알지도못한 채 각종 여론조사에 응답하는 국민들도 적지 않을 것이다.

대학시험도 제비뽑기로 하자는 의견이 많으면 그렇게 하고,세금을 내지 말자는 의견이 많으면 그대로 따를 것인가.여론을 무시해서는 안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중요한 정책의 판단을 ‘무늬만 여론’인 여론조사 결과에 매달리는것은 너무나 무책임한 일이다.

[곽태헌 논설위원 tiger@
2002-03-20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