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 길섶에서/ 볏짚 타령

2001 길섶에서/ 볏짚 타령

장윤환 기자
입력 2001-11-28 00:00
업데이트 2001-11-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무역기구(WTO)체제가 기승을 부리면서 홀대를 받게 된 것이 우리의 주식인 쌀만은 아닌 것 같다.볏짚 또한 찬밥신세는 마찬가지인 모양이다.추수가 끝난 들녘을 오랜만에둘러볼 기회가 있었다.벼베기는 마쳤지만 아직 낟알을 털지않아 ‘볏단’인 채로 남아 있는 논도 있었지만, 대부분 트랙터로 수확을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탈곡(脫穀)이 끝나 ‘짚단’(볏짚묶음)으로 남아 있었다.

두부모처럼 네모 반듯하게 잘라서 묶은 짚단은 사료용이라했고, 원통꼴 규격품으로 가지런히 잘려 묶여진 짚단은 ‘다다미’가 돼 일본에 수출된다고 했다.그런 축에도 끼지못하는 볏짚들은 문자 그대로 지푸라기 신세가 돼 논바닥에깔려 있었다. 머지 않아 불에 타서 재가 된다고 했다.‘낙엽재귀근(落葉再歸根)’이라니,‘순환농법(循環農法)이라며자위할 수밖에.

60년대 초만 해도 볏집은 초가지붕의 이엉을 올리는 데 쓰이거나 새끼꼬기,가마니짜기의 재료로 쓰여 농가소득에 큰보탬이 됐었다.첨단산업시대에 웬 볏짚 타령이냐고 하면 할말이 없지만.

장윤환 논설고문

2001-11-28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