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시설 31% 안전 ‘구멍’

청소년시설 31% 안전 ‘구멍’

입력 2001-06-13 00:00
업데이트 2001-06-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입시학원·독서실·고시원·청소년수련시설 등 청소년 시설중 3분의 1 가량은 건물 창문에 쇠창살을 설치하거나 무허가위험물을 사용하고 있는 등 안전 사각지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는 지난달 16일 경기도 광주시 예지학원 화재사고 이후 지난달 18일부터 지난 9일까지 총 1만1,868곳의 청소년 시설중 휴폐업 대상 166곳을 제외한 1만1,702곳에 대해 긴급점검을 실시한 결과 31%인 3,584곳이 불량시설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행자부는 이중 무허가 위험물을 사용한 청소년수련시설 등9곳의 업주를 입건하고 나머지 3,575곳에 대해서는 시정명령을 내렸다.입건된 9곳과 시정명령 기간내에 소방시설 등을완비하지 않은 시설은 신문 또는 인터넷에 명단을 공개할 예정이다.특히 창문 등에 쇠창살을 설치해 놓은 223곳과 비상구에 잠금장치를 한 131곳이 일정 기간내에 이를 제거하지않을 경우 시민단체 및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강제철거에 나서기로 했다.

최여경기자 kid@

2001-06-13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