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신번호 서비스 ‘찜찜한 출발’

발신번호 서비스 ‘찜찜한 출발’

김태균 기자
입력 2001-03-31 00:00
업데이트 2001-03-3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일 시작되는 전화 발신번호 표시서비스가 교환기 등 하드웨어 문제와 이용료 시비 등으로 반쪽짜리 서비스에 그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발신번호 확인 기능과 번호 표시를 막는 기능이 동시에 제공되는 등 이용자들의 혼란도 예상된다.유선전화업체와 이동전화업체간 서비스 방식에도차이가 난다.

■발신번호표시 서비스 전화 건 사람의 번호를 수신자가바로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통상 CID(Caller ID)서비스라고 부른다.한국통신 하나로통신 등 유선전화업체들과 5개이동전화업체들은 4월 한달동안 무료 시범서비스를 한뒤 5월부터 유료 서비스에 나선다.요금은 4월초 확정할 예정.

한국통신은 월 2,500원(가정)과 2,800원(기업), 하나로통신은 2,000원에 제공할 계획이다.이동전화업계는 3,500원선에서 정부와 의견을 절충하고 있다.

■발신번호 반만 찍힌다 문제는 이렇게 돈을 받으면서도완전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우선 구형 교환기가 설치된 지역에서는 서비스가 불가능하다.한국통신은 “당장 CID 서비스를 받을수 있는 가입자는 서울 48%,전국65% 수준”이라고 밝혔다.한통은 CID서비스가 가능한지 여부를 무료전화 080-2580-150에서 확인해주고 있다.기업체처럼 구내 교환기를 운용하는 곳에서 건 전화도 번호가 표시되지 않는다.주로 9번이나 0번을 먼저 누르고 거는 전화들이 여기에 해당한다.키폰처럼 전화기 한대로 여러 회선을 이용할 때에도 발신번호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장난전화나 음란전화,스토킹 전화 등을 이런 곳에서 걸면 확인할 길이 없다.이동통신업체 관계자는 “자체 시험 결과 발신번호 표시비율이 50%선에 그쳤다”면서 “발신번호가 확실히 찍히는 이동전화를 뺀 유선전화의 표시 확률은 매우낮다”고 말했다.

■번호표시와 번호표시 제한 내 발신번호가 남의 전화기에찍히지 않도록 하는 표시제한(블로킹)서비스도 함께 시작된다.때문에 악의적인 전화를 하는 사람이 이 서비스(무료)를 이용하면 받는 사람이 발신번호 표시서비스를 이용해봤자 별 의미가 없다.또 유선사업자들은 번호표시와 번호표시 제한 서비스를 함께 묶어 제공할 계획이지만 이동통신사업자들은 번호표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는번호표시 일괄제한(라인 블로킹) 서비스는 하지 않기로 했다.이동통신업체 관계자는 “남의 번호를 보기 위해서는내 번호도 남에게 공개해야 한다는 형평성 차원”이라고설명했다.그러나 한국통신 관계자는 “개인 사생활 보호와폭넓은 선택권을 위해 두가지를 동시에 제공한다”고 말했다.

■요금 시비 가열될듯 통신업계가 책정한 요금이 너무 비싸다는 말이 많다.시민단체인 참여연대는 최근 서비스사업자들이 책정한 CID서비스 이용료가 너무 높다며 이를 재고할 것을 촉구했다.참여연대는 “통신업체들이 CID서비스를위해 300억원 정도밖에 투자하지 않았으면서도 엄청나게비싼 값을 매겼다”면서 “서비스 투자액과 원가 등 근거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태균기자 windsea@
2001-03-31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