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부시는 기회를 잃었다”

NYT “부시는 기회를 잃었다”

강충식 기자
입력 2001-03-10 00:00
업데이트 2001-03-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언론들은 대부분 이번 한·미 정상회담 결과에 유보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뉴욕타임스는 9일자 사설에서 두 정상이 대북정책에 대해 일부 이견을 나타낸 부분을 들어,“북한의 진정한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잃었다”고 지적했다.워싱턴포스트도 이날 “북한을 포용하려는 노력에 미국이 브레이크를 걸었다”는 내용의 사설을 실었다.

[뉴욕타임스] ‘한반도에서 상실되고 있는 기회’란 제하의사설에서 “부시 대통령은 당분간 북한과 미사일 협상을 재개하지 않기로 함으로써 북한의 진정한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잃었다”고 지적했다.이로 인해 북한과의 대치국면에서 벗어나 외교적 관계를 이끌어 내려는 한국의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을 복잡한 상황에 직면하도록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또 “클린턴 행정부 때 북한은 경제적 지원을 대가로 장거리 미사일의 개발 및 수출을 중단하겠다고 제의한 바 있다”면서 “이러한 기조로 협상이 타결된다면 미국을 사거리로한 북한의 미사일 위협이 제거되고,미국으로서도 국가미사일방어(NMD) 체제 구축에 대한 중압감을 덜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미국은 지난 몇년간 북한이 한국과 서방세계와관계를 개선하는데 진지한 자세를 보이는 등 고무적인 조짐을 고려,미해결 상태인 미사일 문제를 신중히 검토해 올해안에 북한과 대화를 재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워싱턴포스트] ‘중단된 한반도 정책’이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부시 행정부의 대북정책은 아직 정립되지 않았지만북한이 미사일 개발을 포기하고 개방의 길로 나서도록 하는것 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부시는 한국과 클린턴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제동을 걸고 있다”고 지적하고 “지난 2년동안 김대중 대통령은 북한과의 관계에서 돌파구를 찾았고,최근에는 남북이 평화선언을 할 만큼 토대를 다졌다”고 밝혀 한국의 대북 햇볕정책을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그러나 부시 대통령은 지난 7일 김 대통령에게 클린턴의 대북정책을 고수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고,콜린 파월 국무장관도 북한과의 협상이 조만간 열리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한국측이 희망해온 것과 상반되는 반응을 보였다고 했다.

특히 “북한이 지금까지 체결한 협상을 위반하지는 않았지만 북한군이 현재 무엇을 하고 있고,원조한 식량이 주민들에게 돌아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면서 “그러나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이 최근 개방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 중국처럼개방을 통해 체제붕괴를 막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유에스에이 투데이]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과 콜린 파월국무장관이 북한에 관해 상반되는 신호를 보낸 것은 부시 내각의 불화를 시사하는 것일 수도 있다고 8일 보도했다.

투데이는 부시 대통령이 전날 한미정상회담에서 김대중 대통령에게 대북 강경노선을 주장,김 대통령을 실망시키고 파월 국무장관조차도 ‘열외’(off-guard)시킨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파월 장관은 정상회담 하루 전만해도 부시 행정부가 클린턴 전 대통령이 남겨놓은 곳에서부터 (대북협상을)시작할 계획이라고 말해 더 유화적인 입장을 취했다.그러나7일 정상회담 도중 회담장에서 나와 기자들에게 전날과는 다른 말을 했다.

파월은 당시 미국이 여전히 ‘위협’으로 간주하고 북한과의 협상 재개를 서두르지 않겠다고 말했다.다른 행정부 관리들은 파월의 앞서 발언이 잘못 해석됐다고 해명했으나 분석가들은 파월과 더 강경한 관리들 사이에 균열이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강충식기자 chungsik@
2001-03-10 7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