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뇨장애 치료 이렇게

배뇨장애 치료 이렇게

유상덕 기자
입력 2001-02-19 00:00
업데이트 2001-02-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부 N씨(40·경기도 파주시 금촌동)는 고속버스나 기차를못타본 지가 벌써 여러 해 됐다.

소변을 통 참지 못하기 때문이다.보통 소변을 본 뒤 2시간이내에 또 화장실을 가야 하고 잠을 자다가도 2∼3번 일어나야 한다.기침,재채기를 할 때마다 소변을 지리는 것도 큰 고민거리이다.

전립선 비대증을 앓고 있는 회사원 K씨(41·서울 성북구 안암동)는 늘 항문과 고환 사이가 묵직하면서 뻐근하다.오줌을누고 나면 뭔가 남아있는 듯해 불쾌한 기분이 든다.

오줌이 새나오거나 잘 나오지 않는 등 배뇨장애를 느끼는사람들의 고통은 이만저만한 것이 아니다.

대한배뇨장애 및 요실금학회가 최근 전국의 40대 이상 남녀2,000명을 대상으로 전화로 설문조사한 바에 따르면 소변을자주보는 빈뇨가 9%, 소변이 마려우면 참지 못하는 절박뇨가19.8%, 소변을 보려고 화장실에 가기 전에 이미 속옷을 적시는 절박성 요실금이 14.3%,빈뇨와 절박뇨를 다 갖고 있는 경우가 8.4%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명수 울산의대 서울중앙병원 비뇨기과 교수는 “배뇨장애는 방관이 과민해발생하는 빈뇨·절박뇨·절박성 요실금과요도 주위의 근육이 약해 생기는 요실금,요로감염에 의한 빈뇨 등이 있다”면서 “남자보다 여자가 조금 많고 대도시에서 중소도시,읍면지역으로 내려갈수록 유병율이 증가한다”고 밝혔다.

이정구 고려대 안암병원 비뇨기과 교수는 “출산후 재채기를 하거나 웃을 때 자신도 모르게 오줌을 지리는 등 출산경험이 있는 여성 10명 가운데 4명쯤이 요실금 증상을 보이고있다”고 말했다.

이유식 성균관의대 삼성제일병원 비뇨기과 교수는 “전립선비대증이 있는 남성은 전립선이 방광 출구를 막아 오줌을 시원하게 볼 수 없다”면서 “전립선이 더 커져 방광이 탄력을잃기 전에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배뇨장애에는 약물치료,방광훈련,음식물조절,골반근육운동등 크게 4가지 치료방법이 활용된다.

이유식 교수는 “장애 증상에 따라 적절한 요법을 실시하면대개 6∼8주면 치료가 된다”고 설명했다.

이정구 교수는 “요실금의 경우 최근 옷을 입은 상태로 체외에서 자기장 치료기를 이용해 고치는 방법도 도입됐다”면서 “치료기간은 약6주이고 비용은 50만원쯤 된다”고 말했다.

유상덕기자
2001-02-19 1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