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매일 신춘문예 당선작/ 시조 심사평

대한매일 신춘문예 당선작/ 시조 심사평

윤금초, 박시교 기자
입력 2001-01-03 00:00
업데이트 2001-01-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명 부활의 경이로움을 섬세하게 묘사한 작품 ‘눈 녹는 마른 숲에’를 당선작으로 민다.

특별히 과장하거나 필요 이상의 튀는 표현을 보이지 않은 단아함이높은 점수를 받는 요인이 되었다.

그리고 당선작보다 더 힘을 들인 듯한 함께 보내 온 작품 ‘겨울 구상나무’가 뒷받침을 잘 해주었다고 할 수 있다.

‘눈 녹는 마른 숲에’를 마지막으로 흔쾌히 가려뽑기까지 심사를 맡은 두 사람은 두 번의 회합을 가졌고,그때까지 남아서 논의의 대상이 되었던 작품으로는 설규철의 ‘겨울 몽산포’,최영효의 ‘입춘’,김보영의 ‘겨울비’,그리고 곽홍란의 ‘미완의 강’ 등이었다.

이들 네 편의 작품은 당선작과 견주어 볼 때 모두 나름대로의 아쉬움을 조금씩 드러내고 있었다.예컨대,내용의 단조로움이 지적된 ‘겨울 몽산포’,종장 처리의 미숙이 결정적인 흠이 된 ‘입춘’,시어의 돌출과 보법의 불안정을 드러내고 만 ‘겨울비’가 그러했다.

끝까지 남은 작품은 ‘미완의 강’이었다.

생각을 이끌어가는 저력이나 눈부신 서정의 흐름 등에서는 나무랄 데가 없었으나 종장 마지막 구 처리에서 보여준 어떻게 보면 아주 작은 결함이 결국 문제점이 되고 말았다.그러나 그 아쉬움은 훗날 더 좋은 결과를 낳게 되리라 확신한다.

이제 이쯤에서 ‘눈 녹는 마른 숲에’ 따뜻한 생명을 불어넣은 당선자에게 뜨거운 박수를 보내야 마땅하리라.

당선자와 아쉽게 탈락한 모두의 문운을 빈다.

윤금초 박시교
2001-01-03 1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