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에 담은 ‘상쇠’ 김용배의 삶

그림에 담은 ‘상쇠’ 김용배의 삶

입력 2000-12-04 00:00
업데이트 2000-12-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쇠 김용배의 꽹과리를 내리치는 손에는 관음보살 치맛가락의 선 율보다 더 섬세한 신기가 감돈다고 도올 김용옥은 말했습니다.도올의 지적이 아니더라도 김용배의 소리에는 서늘한 광기,영혼을 움직이는 힘 같은 것이 배어 있어요.안타깝게 죽은 ‘소리의 구도자’ 김용배 의 예술혼을 기리는 마음에서 그의 삶을 다룬 그림을 그리게 됐습니 다” 한국화가 이소영(33·경남대 강사·사진)이 8일부터 13일까지 서울 동숭동 한국문화예술진흥원 2전시실에서 색다른 분위기의 그림 을 선보인다. 출품작은 가로 23m의 두루마리 그림 ‘음의 빛깔’을 비롯,‘왕릉- 시·공 공존’‘사물놀이 4인방’등 10여점.모두 국악인 김용배의 삶 을 다룬 것이다.관심을 모으는 작품은 단연 ‘음의 빛깔’이다.작가 는 이 스토리가 있는 그림을 그리기 위해 여러가지 시도를 했다.그중 하나가 이시동도법(異時同圖法),즉 시간을 달리해 같은 인물의 이야 기를 펼쳐가는 방식이다.중국 돈황석굴의 ‘사신사호도(捨身飼虎圖) ’가 부처의 본생담을 효율적으로 묘사하고 있듯이 ‘음의빛깔’은 한 전설적인 뜬쇠의 삶의 내력을 소상히 전해준다. 김홍도의 ‘무동’과 신윤복의 ‘월하정인’을 패러디해 그려 넣은 것도 눈여겨 볼 대목.주요한의 ‘불놀이’,헤르만 헤세의 ‘그는 어 둠 속을 갔다’ 등의 시구도 써넣었다.“중국 동진의 고개지는 글을 설명하는 일환으로 ‘열녀도’ 등의 그림을 그렸지만 나는 그림의 분 위기를 살리기 위해 시구를 사용합니다” 작가는 이 그림을 하나의 시나리오(구성 이건수)를 바탕으로 해 그렸다. 김종면기자

2000-12-04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