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 국립大 ‘연구중심’ 전환

9개 국립大 ‘연구중심’ 전환

입력 2000-07-28 00:00
업데이트 2000-07-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는 2002년부터 서울대 등 9개 국립대가 석·박사를 주로 배출하는 ‘연구중심대학’으로 바뀔 전망이다.

또 일부 국립대는 공모제로 선출되는 총장에게 인사·재정권 등을 부여하는책임운영기관으로 전환된다.

교육부의 국립대학발전계획수립 종합추진위(위원장 金信福 서울대 행정대학원장)는 27일 이같은 내용의 ‘국립대학 발전계획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공청회 등을 거쳐 다음달 말까지 최종안을 확정할 방침이다.국립대는 일반대25개,교육대 11개,산업대 8개 등 44개 대학이다.

발전계획안에 따르면 내년말까지 서울대 등 9개 일반대는 ‘연구중심대학’으로 전환된다.10개대는 지역사회의 수요에 맞는 기술직 등을 양성하기 위해 대학원 정원을 줄이는 대신 학부를 늘려 ‘교육중심대학’으로 바뀐다.11개 교육대와 한국체대·한국해양대 등 6개 대학은 특정분야 전문인력을 키우는‘특수목적대학’으로,산업대는 평생교육기능을 맡는‘실무교육중심대학’으로 개편된다.

계획안은 대학 유형별로 중점육성분야를 지원하되,사립대와 경쟁하는 분야를 별도로 선정해 등록금을 차등 부과할 수 있도록 했다.이에 따라 주요 국립대 인기학과의 등록금은 사립대 수준으로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현행 총장 직선제를 포기하고 공모제를 통해 총장을 뽑기를 희망하는 대학은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시범적으로 교육부장관과 경영계약을 맺고 총장이조직·인사·재정권을 행사토록 할 방침이다.

국립대 중복·과잉투자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7개 권역별로 유사·중복학과가 많는 대학의 통·폐합을 강력히 유도하는 한편,권역내 단과대학과 학과의교환도 허용하기로 했다.

대학의 등록금 자율책정권을 부여하는 ‘국립대 특별회계제’의 도입과 교수·학부모·동문회·지역인사 등이 참여,대학의 기본정책과 예산 등을 심의하는 ‘대학평의원회’ 구성 등도 추진하기로 했다.

박홍기기자 hkpark@
2000-07-28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