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화해시대/ 이산가족 상봉

남북 화해시대/ 이산가족 상봉

이석우 기자
입력 2000-06-16 00:00
업데이트 2000-06-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향방문단으로 오는 8월 어떤 사람들이 얼마나 북한 땅을 밟을 수 있을까.

남북 정상의 15일 공동선언에 따른 고향방문단 교환합의에 따라 대상자,규모,후속 조치 등이 관심거리다.

□앞으로 협의과정/ 남북 양측은 고향방문단의 교환을 위한 후속협의를 이달안에 시작할 계획이다.방문단 교환시점인 8월까지 협의할 시간이 많이 남지않은 상태다.이 문제는 인도적 차원에서 해결해야 한다는 점에서 적십자사가회담 주체가 될 것으로 보인다.판문점 등에서 적십자회담을 통해 구체적인방문 규모와 대상 등이 결정될 전망이다.

□고향방문단의 범위와 규모/ 양측이 협의를 시작하지는 않았지만 지난 85년전례가 참고될 전망이다.당시 양측은 50명씩의 이산가족을 교환했었다.

이산가족과 함께 예술공연단과 취재기자들도 각각 50명,30명씩이 방문하기도 했다. 정부 당국자들은 “최소 50∼100명 이상의 이산가족들로 방문단이 구성될 것이며 취재기자들이 참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선발 방법 70세 이상의 고령자 우선으로 선발한다는 원칙.대한적십자사등에서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접수를 받은 뒤 추첨을 통해 고령자 중에서 우선적으로 선발한다는 계획이다.정부의 한 당국자는 “신청자 수에 비해 고향방문단으로 방문할 수 있는 대상자 수가 지극히 적어 어쩔 수 없이 추첨을 통해 뽑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70세 이상의 이산가족은 현재 26만명 가량으로 추정된다.대한적십자사는 그동안 이산가족상봉 신청자 수는 연령구별없이 총 14만6,000명이라고 밝혔다.

□정부 입장/ 고향방문단 교환이 이산가족문제 해결의 첫 단추를 여는 계기라고 보고 있다.생사확인·서신교환을 비롯해 면회소 설치 등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입장이다.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이산가족들의 생사확인·서신교환·상봉 등이 정례화,상시화 될 수 있도록 제도의 틀을 만들어 나가겠다는계획이다.고향방문단 교환을 위한 협의가 시작되면 이같은 전반적인 문제도 함께 논의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비전향장기수와 납북자문제/ 정부는 비전향장기수와 납북자도 이산가족의범주에 넣어 해결해 나간다는 입장이다.이 문제에서도 신축적인 상호주의를적용,풀어나가겠다는 자세다.김대중(金大中)대통령도 취임 후 여러차례 “인도적인 차원에서 이 문제를 고려하고 있으며 남북이 대화를 통해서 해결해나가자”는 게 정부 입장임을 밝힌 바 있다.신축적인 적용이란 점에서 비전향장기수의 전격 북송도 배제하기 어렵게 됐다.

이석우기자 swlee@
2000-06-16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