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경험 살려 ‘중앙무대’ 노크

자치경험 살려 ‘중앙무대’ 노크

입력 2000-02-11 00:00
업데이트 2000-02-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시 구청장 및 시의원들이 대거 16대 총선에 공천을 신청,풀뿌리 민주주의의 중앙정치무대 진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10일 현재 새천년민주당 및 한나라당에 공천신청을 한 사람은 구청장 5명,시의원 6명 등 모두 11명.

구청장은 종로 정흥진(鄭興鎭),중구 김동일(金東一),성동 고재득(高在得),구로 박원철(朴元喆),송파 김성순(金聖順)구청장 등 새천년민주당 소속 5명이다.당초 여·야당에 공천을 신청한 사람은 6명이었으나 한나라당에 신청했던 권문용(權文勇) 강남구청장은 중도에 불출마를 선언했다.

시의원으로는 최종근(崔鍾根·동대문을) 이선재(李善宰·마포갑) 김수복(金洙福·관악갑) 곽순영(郭順英·송파을)의원이 민주당에,오상준(吳尙俊·용산) 안병소(安秉昭·경기 오산화성)의원이 한나라당에 각각 공천신청을 했다.

이중 최종근 이선재 오상준의원은 10일 현재 의원직을 사퇴한 상태다.

이들을 바라보는 시각은 크게 두갈래로 나뉜다.하나는 지방자치가 성숙한선진국처럼 풀뿌리민주주의의 경험을 살려 중앙정치로 진출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긍정적 반응이다.

반면 선거때 지역발전을 위해 힘쓰겠다고 한 유권자와의 약속을 저버리는 것이 아니냐는 비난도 만만치 않다.

긍정론자들은 지난 6일 핀란드 최초의 여성대통령에 당선된 타르야 할로넨이 헬싱키 시의원을 지낸 다음 국회에 진출한 것처럼 지방자치의 경험을 살려 중앙정치로 진출하는 것은 당연한 정석(定石)이라는 견해를 펴고 있다.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관계자는 “기존 정치에 식상한 유권자들이 지방자치단체의 장이나 의원들을 새정치의 대안으로 삼을 수 있다”면서 “풀뿌리민주주의의 경험 때문에 중앙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출마하지 않은 거의 대부분의 단체장과 지방의원들도 ‘최초의 구청장 또는 시의원 출신 국회의원의 영예를 누가 안을까’에 관심을 모으면서 내심 성원을 보내고 있다.

서울시 민선구청장 출신의 국회의원은 아직까지 한명도 없으며 시의원 출신도 1대 시의원을 지낸 김재광·노승환씨와 2대 시의원 유성범씨가 전부다.91년 7월 지방의회가 부활된 3대부터는한명도 없다.

김용수기자 dr
2000-02-11 3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