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 귀국 사할린동포들 60여년만의 설 차례

영구 귀국 사할린동포들 60여년만의 설 차례

입력 2000-02-07 00:00
업데이트 2000-02-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국에서 조상님 제사를 모시기 위해 60여년이나 기다렸습니다.” 새 천년 첫 설날인 지난 5일 오전 11시 경기도 안산시 사동 고향마을 사할린한인아파트 단지 주민복지관에서는 사흘전 영구 귀국한 사할린동포 119명이 합동으로 설 차례를 올렸다.차례상은 대한적십자사 경기도지사(회장 沈載鴻·67)에서 마련했다.이들은 고향 산천에 뼈를 묻겠다는 ‘수구초심(首丘初心)’으로 자식들과의 생이별도 감수하고 지난 2일 조국으로 돌아왔다.징용등으로 러시아로 끌려갔던 이들은 1945년 해방을 맞았지만 일본 정부가 일본인들만 ‘귀국선’에 태우는 바람에 사할린에 눌러 살아왔다.

“어허 굽어살피소서.새 천년 첫 날 고향에서 잔을 올리오니….”향내가 은은히 풍기는 가운데 대한적십자사 관계자가 축문을 낭독하자 사할린동포들은조국에 돌아왔다는 사실이 가슴에 와 닿는 듯 만감이 교차하는 표정이었다.

12살 때인 1924년 아버지를 따라 고향인 경북 영덕을 떠나 사할린으로 간김영덕옹(86)은 76년 만에 조국에서 설을 맞았다.김옹의 딸 정숙씨(54)는 서툰우리말로 “자식들이 함께 살자고 만류했지만 조국에서 삶을 마감하겠다는 아버지의 고집을 꺾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1940년 고향 경북 경주를 떠났던 김도용옹(77)은 “자식들도 ‘품안의 자식’이지 이젠 모두 독립했다”며 “이제 다시는 조국 땅을 떠나지 않겠다”고 눈물을 글썽였다.사할린동포 1세대로 최고령자인 김용출옹(90) 등 대부분이 70∼80대 고령이어서 절하는 것조차 힘들어했지만 앞다퉈 차례상에 나아가떨리는 손으로 술잔을 올렸다.

차례 뒤에는 적십자사 자원봉사자들의 세배를 받고 함께 떡국을 먹었다.윷놀이도 했다.

적십자사 경기도지사 윤근순(尹根順·41·여)사회봉사팀장은 “함께 왔던가족들이 오는 9일 떠나면 자원봉사자들이 노인 한사람 한사람에게 날마다안부전화를 드리는 등 부모처럼 모실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영우기자 ywchun@
2000-02-07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