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영역별 출제경향

수능 영역별 출제경향

입력 1999-11-18 00:00
업데이트 1999-11-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의 특징은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실생활에서 응용하는 능력과 생활에서 얻는 지식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데 초점을맞춘 것이다.

특히 언어영역 듣기평가의 판소리 흥부가·방송뉴스,수리탐구Ⅰ의 컴퓨터원리를 이용한 2진법 문제 등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도 많이 눈에 띄었다.

■언어영역 전년도보다 대체로 까다롭고 어려웠다.전반적인 능력측정을 위해듣기·쓰기·문학·사회·과학·예술 등의 다양한 지문이 출제됐다.

7∼13번의 쓰기문제 지문은 소설 동백꽃,수필 불국사기행,고전 청산별곡 등을 빼고는 모두 국정교과서 밖의 지문이다.출제비율은 듣기 6,쓰기 6,문학 26,인문 5,언어 6,사회 5,예술 6,과학 5문항 등으로 전년도와 같다.

■수리탐구Ⅰ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복돋우기 위해 복잡한 계산을 요구하는문제는 배제됐다.함수의 반감기·2진수를 이용한 수열 등 기본적인 계산이나 이해의 정도를 보는 평이한 문제가 많이 나왔다.때문에 수험생의 체감 난이도도 낮았다.주관식 문제도 전년도보다 쉬웠다.배점은 비교적간단한 이해력을 보는 문항에 2점,창의성을 묻는 문항에 3점을 줬다.

■수리탐구Ⅱ 교과간의 통합성을 고려해 사고력을 묻는 문제가 많이 출제됐다.사회탐구에서는 민족적 정체성과 세계적 보편성을 동시에 찾는 문제와 현실적인 사회문제가 골고루 나왔다.Y2K,민주주의와 시장경제,터키지진·동티모르 사태 등 국제문제,부패와 경제시장,신도시개발 등이 예이다.

과학탐구의 경우,공통과학 과목의 지식과 개념을 물었다.순수 과학적 상황에 편중되지 않고 기술 산업적·사회적 상황 등을 다양하게 고려했다.사료(史料)분석을 통해 가족·사회·경제 등 당시의 생활 모습을 찾는 문항도 선을 보였다.

■외국어영역 고교 공통영어 범위 내에서 대화 및 담화를 중심으로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듣기·읽기·말하기·쓰기 등 언어 기능별로 참신하고 다양한 문항 형식을 사용했다.단순한 암기나 단편적인 지식의측정은 배제했다.

박홍기기자 hkpark@
1999-11-18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