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서점‘제살 깎아먹기’식 할인공세등 걸림돌

인터넷서점‘제살 깎아먹기’식 할인공세등 걸림돌

입력 1999-08-23 00:00
업데이트 1999-08-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터넷서점(가상서점)시대가 성큼 다가서고 있다.인터넷서점수와 시장점유율이 빠른 속도로 늘고 있는 것이다.그러나 21세기 전자상거래의 총아인 인터넷서점이 뿌리를 내리기에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높고도 험하다.할인판매를 통한 ‘제살 깎아먹기’식의 판매형태와 카드결제의 어려움 등이 가장 큰걸림돌이다.따라서 업계와 정부 모두 보완책을 서두르고 있다.

현황 순수하게 네티즌을 대상으로 영업하는 인터넷서점은 대략 30여곳.이중 알라딘(www.aladdin.co.kr) 북스포유(www.books4U.co.kr) 타임전자서점(www.gboat.co.kr) 예스24(옛 다빈치·www.YES24.co.kr) 등이 눈여겨 볼만한곳이다.

예스24의 경우 지난해 6월 서비스를 개시한 이후 1년여만에 회원 7만여명,사이트 방문자 100여만명을 넘어서는 초고속 성장을 기록하면서 동종업계 매출순위 1위에 올랐다.1일 매출액은 1,000여만원에 이른다.

이와 함께 대형 서점이 운영하는 인터넷서점도 매출이 크게 늘고 있다.가장 먼저 인터넷사업에 뛰어든 종로서점과 교보문고,영풍문고 등은 인터넷부문의 매출이 대략 전체의 4∼5% 가량을 차지한다.교보 인터넷서점의 경우 월매출이 5억원선.작년 한해 인터넷 매출은 전체의 5%선이었다.

전국서점 7,000여곳.시장규모 2조5,000억원인 출판업계의 현황에 비추어 아직 인터넷서점의 비중은 미약한 편이다.그러나 국내에 선을 보인게 고작 2년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성장속도는 경이로울 정도이다.

문제점과 대책 서점조합연합회에 따르면 인터넷서점의 가장 큰 문제점은할인판매.당장 책을 팔기 위해 전국 7,000여곳의 출판사들이 인터넷회사들과 할인판매 계약을 맺고 싸게 책을 공급한다.그러나 이는 장기적으로 출판업계 전체의 수익성을 떨어뜨려 대형회사만 살아 남게 될 것으로 우려된다.따라서 정가제의 도입이 시급하다는 것이다.문화관광부와 업계는 이런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정가제의 강제시행을 골자로 하는 ‘저작물의 정가유지에 관한 법률’의 입법을 추진중이다.

다음으로는 전송속도와 보안문제를 들수 있다.소규모 회사들은 서버의 용량이 적어,속도가 뒤떨어진 탓에 사용자들의 외면을 받는다.또 은행카드로 결제할 때 카드번호의 누출 가능성이 높다.따라서 책값을 내기 위해 은행에 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이밖에 높은 우송료와 카드사용 수수료 등도 인터넷시대의 개막을 가로막는 주요 암초로 꼽힌다.

박재범기자 jaebum@
1999-08-23 1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