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유일의 北京한국어학교 2만달러 없어 폐교위기

중국 유일의 北京한국어학교 2만달러 없어 폐교위기

조현석 기자
입력 1999-07-14 00:00
업데이트 1999-07-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내 유일한 한국어 교육기관인 한국어 학교가 심각한 재정난으로 폐교의위기에 놓였다.

지난 89년 중국 교포 3∼4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기 위해 설립된 ‘베이징(北京) 한국어학교’가 올해로 개교 10주년을 맞았지만 학교 운영비 등미화 2만달러(한화 4,200만원)가 없어 당장 2학기 개강이 어려운 실정이다.

한국어 학교는 지난 89년 황유복(黃有福·56·중앙민족대학교수) 교장이 미국 하버드 대학 교환교수 시절 받은 연구비 1만달러를 절약하여 베이징의 중앙민족대학내에 소학교(초등학교) 정규과정 등을 설립한 뒤 자신의 강연료와베이징 거주교포의 성금으로 10년동안 어렵게 운영해왔다.

학생들로부터 수업료를 받지 않으며 83명의 자원봉사 교사들에겐 월 3만∼4만원의 수고비가 지급되고 있다.

그동안 베이징 본교와 지방 분교 10곳에서 2,000여명이 졸업했으며 이들 가운데 100여명이 미국과 일본,한국 등에서 유학한 뒤 중국에서 활동하고 있다.

13일 한국 정부에 재정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서울에 도착한 황 교장은 “답답한 마음에 교육부 국제교육협력과와 외교통상부 재외동포재단을 방문해 도움을 요청했지만 관계법령이 없다는 이유로 거절 당했다”면서 “정부에서조금만 신경을 써 준다면 220만명에 달하는 중국내 조선족에 대한 한국어 교육이 이뤄질 수 있다”며 아쉬워했다.

황 교장은 “솔직히 한국 정부가 미국 등에 있는 해외 거주자나 교포에 대해서는 상당액의 재정지원을 해주고 있지만 중국 거주 조선족에 대한 지원은없다”고 말했다.

황 교장은 “조선족 3∼4대의 75%가량이 한국어를 모르고 있는 현실에서 중국내 한국어 교육기관이 폐쇄되면 민족성 상실 등 심각한 우려가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조현석기자 hyun68@
1999-07-14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