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생 100주년 方定煥선생 장남 云容옹이 본 아버지

탄생 100주년 方定煥선생 장남 云容옹이 본 아버지

김성수 기자
입력 1999-05-05 00:00
업데이트 1999-05-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린이들을 두고 가니 잘 부탁합니다” 어린이날을 제정한 소파(小波) 방정환(方定煥) 선생(1899-1931)의 장남 운용(云容·81)옹(翁)은 임종 순간까지 어린이들을 걱정한 아버지의 유언을 또렷이 기억하고 있다.

“아버지는 가족보다는 항상 어린이들만 생각하셨어요.어린 마음에 서운하기도 했지요” 운용옹은 3·1 독립선언 당시 민족대표 33인의 대표인 손병희(孫秉熙) 선생의 외손자이기도 하다.

옹이 기억하는 아버지는 항상 바빴다.귀가시간은 거의 매일 밤 11시가 넘었다.

방정환 선생은 특히 어린 새싹을 키우는 일에 몰두했다.독립에 대한 열정때문이었다.어른들이 무능력해서 나라를 빼앗기고 일제의 압제에 시달리는만큼 미래에 대비해 어린이를 슬기롭게 키우자는 각오였다.‘10년 후를 보자”는 말을 버릇처럼 되풀이했다.운용옹이 기억하는 아버지는 말을 잘했다.보성전문에 다닐 때는 ‘담론부(談論部)’ 리더를 맡았다.동화구연에 특히 소질이 있었다.

한번은 개벽에 쓴 글이 문제가 돼 서울형무소에 들어갔다.미결수로 있으면서 잡범들과 한 방을 쓰게 됐는데 방정환선생은 이들에게 동화구연을 해줬다.낭랑한 목소리로 들려주는 선생의 말 한마디 한마디를 들으면서 죄수들은웃고 울었다.

올해로 탄생 100주년이 되는 선생은 운용옹이 14세 때 세상을 떠났다.남은가족은 어머니 손용화(孫溶嬅·91년 작고)씨가 하숙을 쳐서 버는 돈으로 근근이 생계를 유지했다.운용옹은 교동국민학교와 경성제일고보(현 경기고)를나왔지만 백화점 직원,건설 현장 노동자 등 안해본 일이 없을 정도로 고생을 했다.

지금은 광명시 철산동에서 부인(72),손주들과 함께 말년을 보내고 있다.아버지가 독립유공자로 인정돼 나오는 연금으로 생활하고 있다.운용옹은 4일보성전문 법과 3년을 중퇴한 아버지를 대신해 고려대에서 명예 학사학위를받았다.
1999-05-05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