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전쟁’ 승패는 부가서비스

‘정보 전쟁’ 승패는 부가서비스

김태균 기자
입력 1999-03-26 00:00
업데이트 1999-03-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보의 바다가 어디 인터넷뿐이랴.’ 이동통신업체들의 ‘정보 전쟁’이 불을 뿜고 있다.지하철같은 땅속까지 전파가 들어오는 요즘 단지 통화가 잘되는 것만으로는 치열한 경쟁에서 이길수 없다.업체들이 다양한 부가서비스에 사활을 걸고 있는 까닭이다.

이때문에 휴대폰은 이제 ‘거는’ 기계가 아니라 ‘보고 듣고 쓰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장치로 바뀌어 가고 있다.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서비스들이 이미 선을 보였다.

증권정보와 뉴스속보에서 스포츠 전적,일기예보,운동선수·연예인 신상정보에 이르기까지 간단한 버튼조작 몇번으로 원하는 정보를 얻어낼 수 있다.

심지어 노래를 부르면 점수를 매겨주기도 하고,문자를 입력하면 팩스나 전자우편으로 전송해 주기도 한다.PC통신에 곧바로 접속해 검색할 수도 있다.

휴대폰 자체가 소형 컴퓨터로 변해 버렸다.편리한 휴대성은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컴퓨터에 비할 바가 아니다.

휴대폰만으로 충족시킬 수 없는 기능은 컴퓨터나 인터넷을 통해 보완하면된다.

휴대폰의 초기화면을 컴퓨터에서 내려받을 수도 있고,인터넷 홈페이지에서자기만의 벨소리를 작곡,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PC로 작성한 주소록을 휴대폰에 옮겨올 수도 있다.

부가서비스는 단말기 제조기술을 발전시키는 원동력이다.

최근 출시되는 휴대폰 단말기들은 한결같이 전자수첩의 기능을 대신하고 있다.메모장,주소록,일정표,전자게임 기능은 물론,라디오를 들을 수 있는 것도 나왔다.

요즘 ‘없어서 못판다’는 폴더형 단말기는 휴대폰이 미래형 컴퓨터로 넘어가는 징검다리임을 보여준다.

앞으로 부가서비스 개발에 따라 휴대폰의 쓰임새는 더욱 다양해질 것으로보인다.수천억원대 황금시장을 예고하는 전자상거래는 물론이고 전자결제,증권거래,홈뱅킹 등의 필수도구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부가서비스를 향한 업체들의 아이디어와 기술력 싸움은 불과 한달 뒤의 서비스도 예측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1999-03-26 1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