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교부·환경부 영월댐 건설 대립/건교부선 강행 방침

건교부·환경부 영월댐 건설 대립/건교부선 강행 방침

입력 1998-09-21 00:00
업데이트 1998-09-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경부 현지 확인보고서 “부적절” 지적

영월댐은 지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건설교통부가 영월댐 건설을 강행하려는 데 대해 환경부가 반대하는 입장을 굳혀가고 있어 주목된다. 그동안 건교부와 환경단체간의 논쟁이 정부부처간 논쟁으로 옮아가고 있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강원도 영월 다목적댐 건설예정 지역은 전유역이 석회암지역으로 수질등급이 낮고 알칼리성(pH 8∼9)이 강해 댐이 건설돼도 생활용수나 농업용수로 쓰기에는 부적절하다는 환경부의 입장이 20일 밝혀졌다.<관련기사 23면>

환경부는 영월댐 환경영향평가를 검증하기 위해 펴낸 ‘영월 동강댐 건설에 따른 출장보고서’에서 이같이 지적했다. 보고서에는 유역권의 기반암인 석회암 지역의 경우 지표면에 드러나지 않은 동굴이 지하에 그물망처럼 연결돼 있을 가능성이 매우 크며,댐건설시 동굴의 용식에 의해 누수,사면붕괴 위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댐건설로 잠자리목 등 곤충과 패류,묵납자루 다묵장어 등 보호대상인 담수어류 등이 소멸될 것으로 평가됐다.

이와함께 댐건설로 동물의 이동이 단절됨으로써 수달 삵 담비 산양 등의 멸종을 초래하며,자연동굴의 수몰로 박쥐의 생존도 위협할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유일한 비오리의 번식처가 훼손되며 이 지역 자라의 번식장소도 수몰될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에는 한반도 생물의 역사를 알 수 있는 동굴생물의 소실로 한반도 생물사의 큰 공백을 가져올 것이라고 기술돼 있다. 이밖에 댐건설과 관련한 사업으로 댐 진입도로 건설시 사면절개,경관훼손 등 1차적 훼손과 함께 토양침식 등 2차적 자연재해 발생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환경부는 이같은 내용의 보완조치를 건설교통부에 제시했으며 이에따라 수자원공사가 대한육수학회에 용역을 의뢰,동강일대 지질 지형 생태계 등에 대한 재평가를 진행중이다. 이 평가가 끝나면 환경부는 공식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이와관련,환경부내 실무자 대부분이 동강댐 건설에 반대하고 있어 동강 환경재평가 결과와 환경부의 공식입장 발표가 주목된다.

이에 앞서 건교부는 지난해 6월 환경영향평가서를 환경부에 제출,같은해 8월 환경부가 평가서 보완을 요청했으며 올 2월 건교부가 보완자료를 제출했으나 3월 환경부가 재보완을 요청했었다. 환경부의 출장보고서는 지난 4월 영월 동강 현지확인 직후 작성됐다.<徐晶娥 기자 seoa@seoul.co.kr>
1998-09-21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