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 상공 ‘오존 구멍’/한반도 면적의 6∼7배 규모

티베트 상공 ‘오존 구멍’/한반도 면적의 6∼7배 규모

입력 1998-06-13 00:00
업데이트 1998-06-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존량 10% 줄어 부극과 비슷/고온상태 발생… 원인규명 숙제

【도쿄=姜錫珍 특파원】 북극과 남극에 이어 중국 티베트 상공에도 한반도 면적의 6∼7배에 달하는 오존 구멍이 나타났다고 일본의 요미우리신문이 12일 보도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인공위성 관측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매년 6월부터 9월에 걸쳐 오존량이 평상시에 비해 10%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티베트 상공의 오존량 감소 규모는 통상 20%가 감소하는 남극에 비해서는 적지만 북극의 오존층 파괴와 맞먹는 규모다.지구 상공의 오존량이 적어지면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 투과율이 높아져 피부암 등의 발병 가능성이 롤라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과학원은 티베트 상공에서의 오존 감소 규모가 해마다 확대되고 있다면서 지역 주민의 건강,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고했다.

오존층 파괴는 극성층권 구름(PSC)과 관련이 깊으며 이 구름은 상공의 대기가 섭씨 영하 78도 이하로 떨어지면 발생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여름철 티베트 상공은 PSC가 발생할 정도로 저온이 아니기 때문에 오존 파괴메카니즘 등은 수수께끼에 쌓여 있다.

한편 중국과 일본은 오는 7월부터 3년 동안 티베트 라사에서 오존 구멍의 실태와 발생 메카니즘 등을 공동으로 연구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공동연구에 참가하고 있는 일본 이와사카 야스노부(岩坂泰信) 나고야대 태양지구환경연구소 교수는 “이 지역이 편서풍 지역이기 때문에 티베트 상공으로부터 오존이 희박해진 공기가 일본 상공으로 불어오고 있다”면서 “10∼12년 뒤에는 영향을 미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1998-06-13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