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미자(외언내언)

계미자(외언내언)

임영숙 기자
입력 1997-10-11 00:00
업데이트 1997-10-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요즘 TV드라마 ‘용의 눈물’의 주인공 태종은 왕권을 지키는데는 무자비한 현실주의자였지만 조선왕조의 기반이 안정되자 마자 왕의 개인재산인 내탕금까지 내놓으며 활자를 만들도록 명령한다.고려말의 서적원제도를 본받아 주자소를 설치하고 활자 주조에 필요한 구리를 충당하기 위해 왕실은 물론 종친·훈신 등에게도 자진 공출토록 한다.

그렇게 만들어진 활자가 조선조의 첫 금속활자인 계미자다.태종 3년,즉 1403년에 만들어진 활자라 하여 그해의 간지를 붙인 이름이다.이때 만들어진 활자는 20만개가 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 계미자로 추정되는 금속활자 9만개가 일본의 돗파(철판)인쇄주식회사 자료실에서 발견됐다 한다.임진왜란 당시 일본이 약탈해간 것이라는 기록도 남아있다는 것이다.이 보도가 사실이라면 획기적인 발견이다.계미자로 찍어낸 책은 여러권 국보로 지정돼 있지만 그 활자는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금속활자는 책의 대량생산과 지식의 대중화를 의미한다.즉 정보혁명이 금속활자로 인해 가능해진 것이다.미국의 라이프지가 지난1천년동안 인류의 삶을 뒤바꾼 대사건 100가지와 100명의 인물을 선정하면서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구텐베르크의 성경인쇄를 든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그러나 1452∼56년 사이에 구텐베르크가 금속활자로 찍어낸 42줄의 성경은 1377년 고려에서 간행된 ‘직지심체요절’에 비하면 75∼79년이나 늦고 이번에 발견된 계미자에 비해서도 49∼53년이나 늦다.

그럼에도 우리는 아직도 금속활자 종주국으로서의 위치를 세계적으로 확고히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된 ‘직지심체요절’이 지난 72년 ‘세계 책의 해’ 전시회에서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으로 소개됐다지만 소수의 전문가들 사이에서만 알려진 사실이다.게다가 최근 중국학자들은 자신들이 금속활자 발명에 앞섰다고 주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우리문화 연구와 홍보에 소홀히 한 결과다.일본에서 발견된 계미자의 반환노력과 함께 우리 인쇄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인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작업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임영숙 논설위원>
1997-10-11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