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빚어진 항아리/클리언스 브룩스 지음(화제의 책)

잘 빚어진 항아리/클리언스 브룩스 지음(화제의 책)

입력 1997-08-19 00:00
업데이트 1997-08-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0년대 미서 성행한 ‘신비평’방법론 소개

1930년대에서 50년대에 걸쳐 미국에서 성행한 뉴 크리티시즘(신비평)의 비평방법론을 소개.뉴 크리티시즘은 멀리는 콜리지,가깝게는 T.S.엘리어트와 리처즈로 이어지는 사고방식으로 문학을 윤리나 과학·역사 등에서 분리해 작품 자체의 객관적 분석과 가치부여에 전념한다.특히 언어에 대한 관심이 커 패러독스나 아이러니를 중시하고 복잡한 의도가 숨어 있는 시편의 분석을 즐긴다.브룩스는 워렌·테이트·블랙머·랜섬 등과 함께 뉴 크리티시즘의 대표적 주자로 꼽히는 인물.이 책은 역설의 언어,미스 아라벨라 퍼머의 경우,그레이의 사연 적힌 항아리,워즈워드와 상상력의 역설,키츠의 삼림의 역사가:주석이 없는 역사,테니슨의 눈물의 동기,예이츠의 크게 뿌리박고 꽃피는 나무,해석의 이단 등 모두 11장으로 이뤄졌다. 영국의 형이상학파 시인 존 단의 시 ‘시성’의 한 구절에서 따온 ‘잘 빚어진 항아리’라는 제목은 예술작품을 정적인 형태를 띤 고정된 것으로 파악하려는 예술관의 표상으로 흔히 쓰인다.부정적 의미가 담긴 표현으로 ‘잘 빚어진 항아리주의(well­Wrought­Urn­ism)’라는 조롱투의 용어까지 생겼다.뉴 크리티시즘의 생명력은 오늘날 완전히 소진되어 버린 것일까.“브룩스는 현대비평에서 이미 고전의 반열에 올라 있다.그러나 최근 20여년 동안의 해체비평은 브룩스와 뉴 크리티시즘의 공적을 가리는 부분일식과도 같은 작용을 해왔다”는게 옮긴이의 견해다.이경수 옮김 문예출판사 1만2천원.<김종면 기자>

1997-08-19 1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