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수용소 10곳에 정치범 20만/민통련 북한인권백서

북 수용소 10곳에 정치범 20만/민통련 북한인권백서

서정아 기자
입력 1997-05-28 00:00
업데이트 1997-05-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민 하루 식량배급 300g으로 줄어/러·중 등 제3국 거주 탈북자 1,500명선

지난해 홍수피해로 인해 북한주민들의 생존권은 최악의 상태로 전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족통일연구원(원장 정세현)의 북한인권정보센터가 27일 발간한 「북한인권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총 곡물생산량은 필요량인 6백70만t에 훨씬 못미치는 3백70만t으로,하루 배급량도 3백g으로 낮아졌고 의약품 부족,치료시설의 낙후 등으로 주민들의 경제·사회·문화적 권리가 크게 악화된 것으로 지적됐다.

이와함께 북한에는 평남 개천의 14호관리소,함남 요덕의 15호관리소,함북 화성의 16호관리소,함북 회령의 22호관리소,함북 청진의 25호관리소등 최소한 10여개의 정치범수용소에 20만명 이상의 정치범이 수용돼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위치나 비밀탄로를 이유로 수용소를 이동 또는 통폐합하고 있어 정확한 수용소와 정치범규모는 파악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백서는 또 『휴전이후 북한에 강제 납치돼 현재까지 억류돼 있는 사람은 사망자까지 포함해 모두 442명으로 조직적인탄압에 시달리고 있다』면서 『이들중 일부는 정치범수용소에 수감돼있고 일부는 「김정일 정치군사대학」 등에 강제배치돼 대남공작원을 훈련시키는 교원으로 일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북한에서는 공개처형과 정치범수용소에 의한 인권유린이 계속되고 있으며 특히 국제사면위 보고서에 따르면 70년이후 92년까지 최소한 23명이 공개처형됐다고 백서는 지적했다.

백서는 이와 함께 『북한을 탈출해 러시아·중국 등 제3국에 머물고 있는 탈북주민들은 약 1천5백명으로 이중 현재까지 우리 재외공관에 망명을 요청한 경우는 약 5백명 정도』라고 밝혔다.<서정아 기자>
1997-05-28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