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창당때 한보자금 유입설

야 창당때 한보자금 유입설

오일만 기자
입력 1997-04-13 00:00
업데이트 1997-04-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95년 정씨 로비활동 활발” 개연성 제기/공작의혹 주장속 DJ­JP 타격 우려

정태수리스트에 대한 검찰조사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이번엔 한보비자금의 「야당 창당자금 유입설」이 터져나오고 있다.

국민회의 김상현 지도위의장이나 자민련 김용환 사무총장 등 야권 실세들이 줄줄이 검찰에 불려가 조사를 받은 와중이라 창당자금 유입설은 진실성 여부에 따라 야권의 뿌리가 흔들릴 뇌관으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야권 일각에서는 『이러다가 정치권 자체가 붕괴되는 것 아니냐』며 잔뜩 긴장하는 것도 이때문이다.

야권은 12일 「공작의혹」을 내세워 강력히 반발했다.국민회의 설훈 부대변인은 『한보의 거액자금이 창당자금으로 들어왔다는 일부 언론보도는 전혀 근거도 없고 터무니 없는 것』이라며 『한보의 몸체를 숨기기 위한 일련의 공작』이라고 몰아쳤다.설부대변인은 『국민들이 공명정대한 수사임을 인정할수 없을 경우 특별검사제에 대한 국민여론이 일어날 것을 검찰은 인식해야 한다』고 역공을 가했다.

11일 정태수리스트와 관련,검찰조사를 받았던 자민련 김용환 사무총장도 이날 『검찰에서 자민련 창당과 관련해 한보로부터 전혀 돈을 받은 적이 없음을 설명했고 검찰도 납득을 한 것으로 안다』고 해명했다.김총장은 이어 『창당과정에서 외상으로 사용한 각종 대금은 신민당과의 합당후 국고보조금을 받아 재정적 뒷받침을 했다』고 결백을 강조했다.

양당의 이러한 해명에도 불구 창당자금을 둘러싼 의혹은 쉽게 사그러질 것 같다.창당시점도 국민회의가 95년 9월,자민련은 95년 4월로,정태수 회장이 정치권에 활발한 로비활동을 펼쳤던 시기라 개연성도 없지 않다. 야권에서는 유입설의 진원지를 검찰주변으로 본다.정태수리스트의 「완결편」으로 김대중­김종필 총재에 치유 불가능한 타격을 통해 3김청산으로 끝맺을 가능성을 우려하는 눈치다.<오일만 기자>
1997-04-13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