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보사태가 「빅뱅」 촉매제 역할/금융개혁 정부 청사진에 담긴 뜻

한보사태가 「빅뱅」 촉매제 역할/금융개혁 정부 청사진에 담긴 뜻

오승호 기자
입력 1997-01-26 00:00
업데이트 1997-01-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단기적 「경쟁력 확보」 장기적 「전략산업화」에 초점

한보철강 부도사태를 계기로 금융빅뱅(금융대개혁)작업이 대폭 앞당겨질 전망이다.

금융개혁위원회(금개위)가 발족한지 1주일도 채 되기 이전에 금융개혁작업의 구체적인 윤곽이 제시됐으며 청와대 등 성층권의 금융개혁에 대한 강성기류도 감지되고 있다.정부당국의 금융개혁작업에 대한 의지도 한보철강 부도사태를 계기로 더욱 확고해지고 있다.한보사태가 촉매제역할을 한 셈이다.

이석채 청와대경제수석이 지난 24일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현 금융제도를 고쳐야 한보철강 부도사태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는다』며 『이번 사태야말로 왜 금융개혁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산 증거』라고 강조한 대목에서도 이런 분위기가 읽혀진다.

정부가 제시한 금융개혁의 큰 틀은 단기적으로는 금융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장기적으로는 금융산업을 경제의 중심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는 점이다.이는 금개위가 밝힌 금융개혁방향과 괘를 같이 하는 것이다.

단기과제의 핵으로는 은행의 융통어음 할인취급 등과 금융기관간 칸막이제거 및 은행·증권·보험사의 신규진입허용이 꼽힌다.선별금융제도 개선차원에서 10대 재벌그룹의 부동산투자승인제도 폐지여부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제시한 것도 혁신적이다.

정부가 중·장기과제로 제시한 은행 소유구조 및 금융권간 직접적인 겸업(유니버셜 뱅킹)허용문제 등을 금개위에서 어떻게 다룰지 여부가 주목된다.보수적인 이미지때문에 금개위 구상 및 발족과정에서 소외된 「열받은」 재경원이 금융개혁에 관해 선명성 기치를 내세울 조짐을 보이고 있는 대목도 주목되는 부분이다.<오승호 기자>
1997-01-26 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