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의 서로다른 득·실 계산

여야의 서로다른 득·실 계산

박대출, 오일만 기자
입력 1996-06-23 00:00
업데이트 1996-06-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한국/“파행정국 양김 대권노욕 부각”/여­“장기화땐 DJ·JP에 국민반감 클것”/야­“야권공조 강화·부정선거 등 홍보 효과

파행국회의 뒷면에는 여야의 다른 계산이 자리하고 있다.서로가 『내가 -1이면 상대는 -2』『상대가 +1이면 나는 +2』라고 생각하면서 상대방의 굴복만 요구하는 양상이다.

이런 정반대의 손익계산표는 무슨 근거에서 산출됐을까.무엇보다 파행 국회를 보는 근본 시각이 서로 극을 달리고 있는 데서 비롯된다.

신한국당은 야당이 단기적으로는 이득을 얻어낸 것으로 평가한다.첫째,신한국당의 영입작업이 일단 중단됐다.둘째,선거부정에 대한 검찰 수사도 잠잠해졌다.셋째,두김씨를 뒤흔드는 야당내 분란도 표면적으로는 진정 기미를 보이고 있다.

신한국당은 적어도 야당이 이 세가지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둔 점을 인정한다.하지만 이런 것은 극히 미미한 이득이라고 일축한다.보다 큰 각도에서 볼 때는 두김씨의 대권욕에 대해 국민적인 반감만 더 키워놓은 결과를 낳게 됐다는 분석이다.

김덕룡 정무1장관은 『누가정국을 이렇게 만들었느냐.두김씨의 노욕,즉 대권욕 때문에 그런 것이다.바로 이런 대목을 국민들이 알기 시작했다』고 말했다.김장관은 『작은 것들을 더하면 많은 플러스가 될 줄 알지만,두김씨에 대한 반감을 감안하면 절대로 그렇지 않다』고 계산했다.

김철 대변인은 『두김씨의 대권욕이 파행국회 장기화의 가장 큰 줄기를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이 부각되면 될 수록 언제까지나 국회를 거부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야당측은 정반대다.여당이 국정책임을 맡은 이상 더 손해라는 주장이다.야권 공조의 지속이라는 또다른 부수 효과도 있다는 계산도 곁들인다.

국민회의 박상천 원내총무는 『국회 파행의 장기화는 김영삼 대통령의 독선·독주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며 『오래 가면 갈수록 4·11총선 부정선거가 국민 모두에게 알려지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자민련 이정무 원내총무는 『일각에서는 야당이 손해볼 것이라고 하는 데 경색정국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느냐』며 『지금으로서 야당이 취할 수 있는 방법이 뭐가 있느냐』고 반문했다.〈박대출·오일만 기자〉
1996-06-23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