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새 연재 「소설 징비록」집필 서기원씨(인터뷰)

서울신문 새 연재 「소설 징비록」집필 서기원씨(인터뷰)

입력 1995-12-21 00:00
업데이트 1995-12-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침에 맞서 영토·민족문화 지켜낸 승전/유성룡·이원익 등 당대 지식인 삶도 전면 부각

『임진전쟁은 민족의 저력을 총결집해 영토와 민족문화를 지킨 승전인데도 수난사 위주로만 알려져 왔어요.외침 앞에 던져진 민족이 슬기를 발휘해 난국을 헤쳐나간 그 시대의 참의미를 소설에 담아보려 합니다』

96년 1월1일부터 서울신문에 새로 연재되는 「소설 징비록」을 집필할 작가 서기원씨(65).1592년부터 7년간 전국토를 휩쓴 임진전쟁을 조명하는 대하소설 연재를 앞두고 그는 방향부터 밝혔다.흔히 쓰는 「임진왜란」이란 명칭을 패배주의적이라 보고 「임진전쟁」을 택한 데서도 그 의도는 뚜렷하다.

『서구 근대국가 형성과정도 알고보면 전쟁사였지요.우리 역사에서 몇손가락 안에 꼽히는 존망의 갈림길이었던 임진전쟁을 통해 우리 민족의식 역시 근대적 각성에 이르렀습니다.임진전쟁을 다시 쓰는 작업은 따라서 우리 역사를 바르게 정립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작품에서 지은이가 집중 부각시킬 대상은 당대의 지식인들이다.소설에 큰 틀을제공하는 「징비록」이 당시 재상이었던 서애 유성룡의 전쟁기록이라는 데서도 쉽게 드러나지만,상황을 좌우할 만한 권력과 지식을 쥔 이들의 눈을 통해 전쟁을 해석하려는 것이 작가의 뜻이다.이에 따라 편집광적인 성격과 탁월한 판단력을 함께 지닌 선조를 비롯 빼어난 외교술의 백사 이항복과 명재상 이원익,용맹무쌍한 게릴라전으로 민중을 이끈 권율장군과 의병장 곽재우·고경명 등이 고르게 무대의 앞자리를 차지한다.작가는 이들의 업적과 아울러 삶의 명암까지 조명할 계획이다.

그동안 임진전쟁을 다룬 작품들에서 주인공을 홀로 맡다시피한 이순신은 이 소설에서 주요인물 10여명 가운데 한 사람으로 머문다.그에 대해서는 유성룡과의 특수하고 아름다운 관계를 비롯,전쟁영웅에서 벗어난 인간적 면모를 밝혀 소설의 재미를 더해 줄 생각이다.

『왕조중심 아니면 민중주의라는 양극화로 치달아 온 것이 역사소설의 현실이었습니다.하지만 정작 역사 흐름에 의식적으로 개입해 주된 방향을 결정한 것은 단연 당대의 파워엘리트인 지식인집단 아니겠습니까.지방선비 출신의 의병장들이 대거 출현한 임진전쟁은 지식인이 민중과 일체가 된 좋은 본보기일뿐 아니라 일제치하 의병활동에 초석이 되기도 했습니다』

이밖에 한일관계사의 전환점인 이 전쟁을 통해 퇴계,율곡 등의 사상이 전파돼 일본 유교의 시발이 되는 과정,조선군이 지형에 밝은 이점을 살려 산성에 자리잡고 적군을 교란하는 게릴라전 등이 눈에 본 듯 그려질 것으로 기대된다.

집필에 앞서 작가는 「징비록」은 물론 「왕조실록」「연려실기술」「난중일기」등을 샅샅이 훑고 일본어 관계서적도 구해 임진전쟁과 관련된 자료를 충분히 섭렵했다.여기에 역사학자 김환덕씨가 자료 준비와 고증에 참여해 당시 전쟁 상황,생활상들을 극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게 가능하다고 작가는 장담한다.

요즘처럼 구조적·총체적 사회문제가 산적한 때일수록 역사를 돌아봐야 한다는 그는 『4백년 전에 끝난 임진전쟁이 남긴 많은 교훈은 그런 점에서 아직도 유효하다』고 강조했다.<손정숙 기자>
1995-12-21 1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