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총 수렵도의 사냥하는 사람(한국인의 얼굴:45)

무용총 수렵도의 사냥하는 사람(한국인의 얼굴:45)

황규호 기자
입력 1995-09-22 00:00
업데이트 1995-09-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호랑이 쫓는 무사 당당한 위용/기마인물상… 머리엔 귀족신분의 조우관

한국인의 얼굴 45 중국 길림성 통구지방 여산 남쪽의 무용총에는 춤판벽화와는 사뭇 분위기가 다른 용맹스럽고 활달한 사냥 그림 벽화가 있다.바로 무용총의 수렵도인데,널방 서쪽벽에 그렸다.심산궁곡의 산악이 보이는 한폭의 풍경화 속에 말을 타고 사냥하는 인물들과 쫓기는 짐승 무리가 역동적으로 투영되었다.

이 벽화에 등장한 인물들은 말을 탔다.모두가 발거리를 밟고 고초 선 자세를 했다.마상의 인물들은 힘이 넘친다.그래서 시위를 당긴 활이 부러질 듯 휘었는데,더러는 달리는 말잔등에서 몸을 뒤로 틀었다.말을 타는 재주나 활 쏘는 솜씨가 범상의 경지를 넘어섰다.그런 탓인지 몇 필의 말이 사람을 업고 뛰는 사냥터에 천군만마와 같은 위용이 가득 어렸다.

말발굽 소리에 놀란 짐승들이 우르르 튀어나와 다급히 꽁무니를 뺀다.유순한 산짐승 사슴이 있고 산중의 왕이라는 호랑이도 보인다.수렵도 벽화고분이 자리한 통구에서 백두산이 그리 멀지 않으니까 벽화의 호랑이 고향은 백두산일 것이다.이들 동물은 성격에 따라 대칭적 위치에 배치되었다.사슴은 상단 왼쪽에,호랑이는 하단 오른쪽에 그린 것이다.달아나는 방향도 대칭을 이루어 흥미로운 구도의 그림이라 할 수 있다.

수렵도에는 검은 개도 한 마리가 따라 붙었다.마상의 인물이 쫓는 호랑이를 같이 공격하고 있다.호랑이는 그야말로 비호처럼 도망치는데,마상의 인물이 활 시위를 당겼다.시위를 막 벗어나기 직전인 화살이 호랑이 꽁무니에 정조준 되었다.고니를 잡은 손가락을 떼기만 하면 화살이 호랑이 꽁무니를 궤뚫을 판이다.수렵도의 백미는 호랑이를 공격하는 그림이다.고구려의 기상이 그대로 어렸다.

그러니까 고구려인의 용맹성을 가장 잘 드러낸 그림은 호랑이를 쫓아 말을 모는 기마인물상이다.비록 사냥을 나왔을 지라도 의관을 제대로 갖추었다.그 매무새 못지않게 용모 역시 준수하다.나이가 그리 들어보이지 않은 얼굴에 비해 침착한 표정을 지었다.기마인물상은 앞서서 도망치는 호랑이를 응시했다.그러나 눈매는 살기를 담지 않아 사나워 보이지 않는다.살생의도 보다는 호연지기의 심성이 더 짙게 배어있는 것이다.

호랑이를 쫓는 기마인물상은 조우관이 분명한 관모를 썼다.이 관모는 역사를 기록한 여러 사서가 고구려의 관모로 밝히고 있다.「신당서」 동이전은 「고구려에서 대신은 청라관을 쓰고 그다음은 깃털 두 개를 꽂은 항라관을 썼다」고 적었다.호랑이를 쫓는 기마인물상의 조익관과 일치하는 기록이다.또 조익관은 대신 바로 아래 계층이 쓰는 것이라고 했으니 신분은 귀족일 것이다.

이 벽화는 고대산수화의 형성과정을 단적으로 보여준다.산과 나무를 그리면서 먼것은 위쪽에,가까운 것을 아래쪽에 배치했다.이를테면 산수화의 공간개념이 비로소 도입된 것이다.<황규호 기자>
1995-09-22 1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