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허리케인 속출 “비상”/8월까지 9회… 59년만에 최다

미 허리케인 속출 “비상”/8월까지 9회… 59년만에 최다

입력 1995-08-27 00:00
업데이트 1995-08-2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년후 「최고 위력」 곧 발생” 우려

【뉴욕=이건영 특파원】 지구촌 곳곳에서 기상이변에 따른 피해가 속출하는 가운데 허리케인도 올해 가장 많이 형성될 전망이어서 피해 등이 우려된다.이미 대서양 카리브해 동쪽에서 올들어 8번째 허리케인인 움베르트와 9번째의 허리케인인 아이리스가 형성돼 미국 남동부지방으로 향하고 있으며 미국 플로리다지방쪽에는 폭우를 동반한 제리라는 열대성 폭풍우가 자리잡고 있다.이에 따라 지금까지만 해도 10개의 허리케인·열대성폭풍우가 형성돼 8월까지의 기록으로는 최다기록이었던 지난 36년의 기록과 타이를 이뤘다.

한햇동안 허리케인·열대성폭풍우가 가장 많이 발생했던 때는 지난 33년으로 21개의 열대성 폭풍우가 형성돼 이 가운데 10개가 허리케인으로 변했으며 형성 시기도 11월 중순까지로 이어졌었다.지난 45년 동안의 허리케인과 열대성 폭풍우의 평균발생수는 8.6개였다.열대 이상기류가 시속 62.4㎞ 이상으로 이동할 때 열대성 폭풍우로서 고유의 이름이 붙여지며 풍속이 1백20㎞로 증가하면 허리케인이 된다.움베르토도 아이리스가 형성된 카리브해 동쪽 레서 알틸레스군도 8백㎞ 남쪽에서 허리케인으로 발달했으며 아이리스 역시 지난 22일까지만 해도 단순한 열대성 폭풍우였다.

미국 기상학자들은 특히 올해에는 지난 20년 이후 가장 강력한 허리케인이 닥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아직까지는 플로리다 등 미국 남동부해안에 상륙한 허리케인들이 그런대로 얌전히 지나갔지만 허리케인의 활동이 점점 강력해지는 징후가 있어 큰 피해가 예상된다는 것이다.

허리케인의 활동강도를 좌우하는데는 몇가지 요인이 있다.12∼16개월마다 풍향을 바꾸는 지구적도의 성층권 바람이 서쪽에서 불어오면 대서양상에서의 허리케인 활동강도는 2배로 높아진다.서부 아프리카와 카리브해 사이의 대서양상의 해수표면이 높아도 허리케인의 강도는 세진다.올해는 특히 성층권의 바람이 서쪽에서 불어오고 있으며 이상폭서로 대서양상의 해수온도도 높아졌다는 것이다.

미국 재해대책기관은 최근 마이애미주 국립허리케인센터의 근무지침이 「허리케인에 보다 철저하게 대비하라」로 바뀔 정도로 「허리케인 비상」 상태에 놓여 있다.보험회사들도 보상규모를 줄이기 위해 그 어느해보다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1995-08-27 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