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두암/까닭모르게 목이 쉬면 “빨간불”(최선록 건강칼럼:68)

후두암/까닭모르게 목이 쉬면 “빨간불”(최선록 건강칼럼:68)

최선록 기자
입력 1995-05-13 00:00
업데이트 1995-05-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잦은 폭음·지나친 흡연 삼가야

후두암은 평소 자기 목소리에 이상이 있는지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쉽게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장기에 생기는 암에 비해 생존율이 훨씬 높다.

흔히 목구멍이라 부르는 열후는 인두와 후두로 구성돼 있는데 후두에는 소리를 내는 성대가 있고 그 래랫쪽에 기관,위쪽은 인두와 연결되어 있다.후두암은 성대와 그 주변 조직에 생기는 암을 말한다.

후두암은 우리 몸에 생기는 전체 암의 약 4∼5%를 차지하며 연령별로는 40대 이후부터 50∼60대에 걸쳐 대부분이 발생한다.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10배이상 많으며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남성이 2.5명,여성이 0.7명 가량 된다.

이 암의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음성을 지나치게 혹사하거나 과도한 흡연 및 잦은 폭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특히 습관성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15∼20배나 후두암이 많이 발생한다.또 석면이나 심한 공기오염도 이 암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초기의 증상은 쉰 목소리가 2주일 이상 계속되고 숨을 쉴 때 목구멍에서 휘파람 소리가 들리며 가끔 호흡곤란도 느끼게 된다.때로는 목에 이물질이 붙어 있는 듯한 느낌을 가지면서 계속적으로 기침을 한다든가 갈증을 느껴 물을 마시게 된다.

진단은 목구멍속에 조그마한 거울을 넣어 직접 살펴보는 간단한 방법으로 후두암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또 X선 검사나 컴퓨터 촬영 등으로도 발견할 수 있지만 조직검사를 통해 마지막으로 확진을 내리게 된다.

자가진단법은 다른 암에 비해 비교적 쉬운 편이다.40대 이상 중년기에 들어선 사람이 쉰 목소리가 뚜렷한 이유없이 한달 이상 계속되거나 목구멍에 이물질이 붙어 있는 느낌이 있으면 곧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정밀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안전하다.

암조직이 성대에 국한된 후두암의 초기 환자는 수술이나 방사선 요법으로 80%정도의 완치율을 나타낸다.더욱이 요즘 레이저광선을 이용,후두암 조직을초기에 제거시키기 때문에 5년이상 생존율이 90%까지 높아지고 있다.<과학정보부 부국장급>
1995-05-13 1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