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완전가동·완전고용”/올 1분기

경제 “완전가동·완전고용”/올 1분기

입력 1995-05-02 00:00
업데이트 1995-05-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조업 가동 83%·실업 2.4%/산업생산·출하 증가율 6년만에 최고/“과열 안되게 적정성장 유도”

산업생산이 크게 늘어나고 투자활동이 호조를 보이는 등 경기 활황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제조업 가동률과 실업률이 사실상 완전가동 및 완전고용 상태에 이르고 있다.자동차·반도체 등의 수출 호조와 기계 장비류의 내수 및 수출 증가,컴퓨터의 내수 호조 등에 따른 것이다.

이에 정부는 국내 경기의 활황세가 자칫 과소비와 물가불안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경기과열을 사전에 차단하는 한편 기존의 안정화 시책을 통해 적정한 성장을 유도키로 했다.

1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 1·4분기(1∼3월)의 산업 생산과 출하는 작년 동기에 비해 각각 14.1%와 15.3%가 증가했다.호황 말기인 지난 88년 3·4분기(7∼9월)에 각각 15.8%와 15.6%를 기록한 이후 6년 반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관련기사 5면>

3월의 산업 생산과 출하는 작년 3월보다 14.4%와 14.3%,1·4분기 전체로는 14.1%와 15.3% 각각 늘었다.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3월이 84.6%,1·4분기로는 83.5%를 기록했다.설비용량과 실제 가동의 차이 및 보수 등 불가피한 요인을 감안하면 완전가동에 거의 육박하는 수준이다.

투자 관련지표 가운데 3월의 국산 기계 수주액(선박 제외)은 작년 동기보다 42.9%,1·4분기 전체로는 45.4%가 각각 늘었다.기계류 수입 허가액과 실적은 3월에 39%와 56.3%,1·4분기로는 62.9%와 28.1%가 각각 늘었다.

건설관련 지표 가운데 국내 건설수주는 3월에 26%,1·4분기로는 14.6%가 작년 동기에 비해 각각 늘었고 건축허가 면적도 3월 19%,1·4분기 16.2%의 증가율을 보였다.

재정경제원의 최종찬 경제정책국장은 『산업 생산과 고용,제조업 가동률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투자나 내수용 소비재의 출하는 다소 떨어졌다』며 『그러나 과열조짐이 물가상승 압력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염주영 기자>
1995-05-02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