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경 2.54m 천체망원경/보잉 747기 탑재… 우주 관측

직경 2.54m 천체망원경/보잉 747기 탑재… 우주 관측

고현석 기자
입력 1994-12-06 00:00
업데이트 1994-12-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 NASA­공수용 공동추진/4만피트 상공서 행성·은하계 등 촬영/천문대것보다 3배 선명한 화면 기대

초고속비행기에 망원경을 싣고 떠난다.소리의 속도보다 몇배 빠른 제트기에 천체망원경을 설치해 지상에서는 쉽게 관측할 수 없는 현상을 연구하겠다는 계획이다.미 월간 애스트라너미 최근호는 첨단관측장비가 갖춰진 비행기에 천문학자들이 탑승해 작업을 수행하는 색다른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있다.

○20년전부터 연구착수

행성,성운,은하등에 의해서 발산되는 열 등을 연구하기 위한 이 프로젝트가 시작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20년전.미 퀴퍼공수연구소(KAO)는 군용수송선을 개조해 이 안에 망원경을 실어 상공 8마일 정도 올라 간 적이 있다.당시 얻은 성과는 상공에서 하는 연구가 지상에서 이루어지는 연구에 비해 유리하다는 점을 안 정도.그후로 고도가 계속 높아져 현재는 4만피트 이상을 비행하게 됐다.이 정도의 높이면 대기권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99%이상이 존재하는 공간을 뛰어 넘게 된다.따라서 수증기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상태에서 마치우주공간에서 관측을 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지니게 된다.시야를 가리는 구름 위에서 관측할 수 있다는 강력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매년 70회이상 비행

지금까지 매년 70회 이상의 비행이 이루어졌다.가장 대표적인 발견으로는 혜성을 이루는 구성물질중에 물분자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외에도 정확한 실체가 파악되지 않아 논란이 많았던 성간물질의 일부 화학조성을 발견해 내기도 했다.또 은하수의 중심부를 둘러싸고 있는 먼지의 띠와 저온가스를 발견해 내기도 했다.

성층권을 넘어서 유영하는 관측비행선의 가장 큰 장점은 기동력에 있다.지상의 일정한 위치에 박혀있는 천문대는 물론 지구 주위를 일정한 궤도로 돌고 있는 우주망원경보다도 오히려 더 유리한 조건을 갖기 때문이다.현재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 허블망원경 등은 항상 일정한 속도와 위치를 고수해야 하기 때문에 관측상의 제약이 있을 수 밖에 없다.이에 비해 망원경을 비행선에 싣는 방법은 언제 어디서나 유리한 위치만을 찾아다니며 관측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이 자유로운만큼 이에 따른 제약도 많다.가장 대표적인 것이 망원경의 해상도.비행기가 자주 흔들려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없다는 뜻이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지금까지는 가장 좋은 안정성을 자랑하는 보잉 747기의 꼬리 부분에 직경 1백인치의 망원경을 매다는 방법을 생각해 냈다.이 계획이 성공하면 지금까지의 기동성에 3배정도 높아진 해상도를 얻을 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또 보잉기의 경우 소형비행기의 평균 비행시간인 7시간 정도와는 비교도 안되는 긴시간을 상공에서 체류하게 되고 일년 평균 비행횟수도 약 1백60회정도 되므로 훨씬 더 여유있게 관측과 정보분석을 할 수도 있다.

경제적인 문제가 걸림돌이 되기는 하지만 현재 독일항공우주국과 미항공우주국이 파격적인 예산 지원을 계획하고 있어 앞으로의 전망은 상당히 밝다는 분석이다.<고현석기자>
1994-12-06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