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선띄워 오존층파괴 막자”/미UCLA알프레드 웡교수 이색주장

“비행선띄워 오존층파괴 막자”/미UCLA알프레드 웡교수 이색주장

입력 1994-11-01 00:00
업데이트 1994-11-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극상공에 소형 20대 쏘아 올려/전자 발산… 프레온가스 중화시켜/지상서 원격조종… 학자들 “기막힌 아이디어”

성층권에 비행선을 띄워 구멍난 오존층을 때우는 방법으로 죽어가는 지구를 살리자는 주장이 나와 화제를 모으고 있다.

미 과학월간지 디스커버 최근호는 성층권 상부에 「환경비행선」을 띄워올려 전자를 분산시키는 방법으로 오존층파괴의 주범인 염소를 제거하고 구멍난 오존층을 기울수 있다는 이론을 소개하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표에서 약 20∼30마일 정도위에 오존으로 이루어진 두꺼운 층이 있다.이 오존층은 태양에서 나오는 치명적인 자외선으로부터 지구의 생명체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이 오존층이 인간이 만든 화학물질에 의해 훼손되고 있다는 사실을 안 것은 지금으로부터 20여년전.오존이 감소됨에 따라 대기안으로 유입되는 자외선은 피부암을 일으키고 플랑크톤같은 해양생물을 죽이며 곡물생산량을 감소시킨다.오존층 훼손에 의한 피해가 곳곳에서 발견되자 국제사회는 오존층파괴의 주범인 CFC의 생산을 오는 96년까지 완전히 중지한다는데 합의를 봤다.그러나 이것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다.

UCLA 물리학과 알프레드 웡교수는 『지금까지 대기로 흘러나간 CFC가 완전히 없어지려면 40년에서 1백년이 걸린다』며 『앞으로 어떤 조치를 취하더라도 아직 공기중에 남아있는 CFC를 모두 제거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대기의 자정능력도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난 4년동안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웡교수는 새로운 해결방법을 제시했다.그의 구상은 아주 간단하다.크기가 약 3백피트 정도되는 소형비행선을 20대정도 남극부근에서 쏘아올린다는 것이다.현재 가장 오존층파괴가 심한 지역이 남극부근이기 때문이다.

각각의 비행선에는 축구경기장 넓이정도의 전깃줄망이 걸려있어 전자를 발산해 문제가 되는 CFC를 전기적으로 중화시켜 무력화한다는 것이다.지금까지는 축소모형으로 실험실에서 밖에 증명이 되지 않았지만 웡교수는 『기본원리가 중요한 것이지 스케일은 문제가 될 것이 없다』고 자신했다.

CFC는 매우 안정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성층권에 진입하기 전까지는 아무런 해를 끼치지 않는다.그러나 일단 CFC가 분해돼 염소가 떨어져 나오면 주변에 있는 전자를 가진 물질을 잡아먹기 때문에 오존을 생성하는 산소기가 첫번째 사냥대상이 된다.웡박사는 여기에 착안,이 과정을 근본적으로 없앨수 있는 전기충격법을 고안한 것이다.

지구보호임무를 띠게 될 이 비행선은 태양에너지로 작동을 하며 지상에서 원격조종을 통해 움직인다.물론 지구로 내려올때는 염소를 가득 싣고 귀환한다.

웡박사의 계획이 실제상황에서도 효과를 볼지는 아직 미지수.그러나 이 계획을 비판하는 학자들도 기본 아이디어만은 뛰어나다고 입을 모은다.이제 남은 것은 연구에 대한 정책적·경제적 지원이다.<고현석기자>
1994-11-01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