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순종이 마지막 아전회의 연곳/궁궐:4(서울6백년만상:41)

창덕궁/순종이 마지막 아전회의 연곳/궁궐:4(서울6백년만상:41)

강동형 기자
입력 1994-07-03 00:00
업데이트 1994-07-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낙선재는 국상중에 왕후가 머물러/“출산 지장” 왕비침소엔 용마루 없어

『맑은 시내 굽이굽이 물소리 길게 들리는데… 울어대는 매미소리에 흥이 절로 돋아나니 시한수 읊으며 술잔이나 들어보세』

12살의 어린나이로 왕위에 오른 고종은 보위 4년인 1867년 나라의 진운은 아랑곳 않고 신정왕후(조대비)와 흥선대원군에게 모든 정무를 맡기고 창덕궁 상원(현재의 비원)의 풍경을 즐기며 그냥저냥 소일했다.

고종5년 왕은 경복궁으로 옮겼으나 5년뒤 겨울 경복궁 자경전에 불이나 창덕궁으로 다시 옮겨 10년동안 머물면서 임오군란(1882년)과 갑신정변(1884년)을 겪었다.

이로부터 23년이 지난 광무11년(1907년) 8월 창덕궁은 경운궁(현재의 덕수궁)에서 즉위한 순종황제를 맞이하니 왕궁에서 「황궁」으로 그 위상이 격상됐다.

그러나 말이 황궁이지 그 위엄은 떨어질대로 떨어져 일본인들이 아무런 제재없이 무단으로 출입했다.신하들의 조하를 받던 인정전과 황제가 거처하는 희정당은 이등박문등 일제침략자들을 위한 향응접견장소로 전락했고,비원에서는학생들의 운동회가 열리기도 했으니 궁중의 위엄은 찾을 길이 없었다.

융희4년(1910년) 8월29일 창덕궁에서 마지막 어전회의가 열리고 있었다.

순종은 일제와 이완용등 친일파들의 협박에 못이겨 한일합방의 조칙을 내리고 그 문서에 옥쇄를 찍고 말았으니 태종이 서울에 환도한(1405년)뒤 5백5년만에 여러차례 화재에도 불구하고 중건·재건을 거듭했던 창덕궁의 영화는 막을 내렸다.

한일합방으로 순종은 황제에서 「창덕궁전하」로 격하되었다.그러나 경복궁 경희궁 덕수궁이 일제에 의해 무참히 파괴됐으나 그래도 창덕궁은 창덕궁전하가 계신 때문으로 1917년 왕비가 거처하던 대조전등 전각들이 불탄 것을 제외하고는 훼손을 면해 잘 보존된 고궁으로 남아있다.

일제는 순종의 마음을 위로해준다는 구실로 경복궁의 교태전을 헐어 대조전을 복원하였다.그러나 건축과정에서 서양풍과 왜색이 가미돼 옛모습을 많이 잃은채 오늘에 이르고있다.

왕비가 거처하던 구중궁궐의 치밀처소인 대조전엔 용마루가 없다.대조전처럼 용마루가 없는 왕비의 침전은 경복궁의 교태전과 창경궁의 통명전이 있는데 이들 이름은 모두 『음양이 서로 통하여 조화를 이룬다』는 뜻으로 왕자의 생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용마루는 지붕의 제일 높은 곳으로 천지간의 자유로운 음양교환을 차단한다하여 선인들은 왕비의 처소에는 용마루를 설치하지 않았다 한다.

순종은 1926년 4월26일 대조전에서 세상을 떠났다.순종의 승하는 6·10만세운동의 계기가 되기도했다.

대조전과 희정당의 후원에 있는 낙선재는 원래는 창경궁에 속한 건물이었다.국상중에 소복한 왕후가 거처하던 이곳은 순종이 승하한뒤 윤비가 기거하다 생을 마감했으며 비운의 황태자 영친왕 이은이 병든몸으로 환국해 1970년 이곳에서 세상을 떠났다.낙선재는 지난 89년 4월30일 일본인 황태자비 이방자여사마저 떠나보내고 생명의 숨결을 잃은채 세인의 기억속에서 사라져 가고있다.

79년 복원정비된 창덕궁은 비원을 포함,모두 15만2백평으로 비교적 보존이 잘돼 고궁의 한적한 멋을 느낄수 있다.<강동형기자>
1994-07-03 17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