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환자 “야간음주 치명적”

당뇨병환자 “야간음주 치명적”

박건승 기자
입력 1994-01-26 00:00
업데이트 1994-01-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알코올과 합병증 상관관계 연구결과 잇달아 발표/낮보다 금식시간 길어 혈당치 더 하락/체온저하·두통·경련·뇌손상 유발 위험

「당뇨병환자는 특히 야간 음주를 금해야 한다」.

모든 당뇨병환자에게 해를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술은 대낮보다 밤에 마실 경우 훨씬 더 치명적인 당뇨합병증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잇따라 발표되고 있다.더구나 인슐린으로 혈당을 조절하거나 경구혈당강하제를 쓰는 당뇨병환자의 경우 저녁 나절에 술을 조금만 마셔도 다음날 아침 심각한 저혈당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져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독일 함부르크 만하임 예방의학연구소는 최근 인슐린 치료가 필요한 남성 당뇨병환자들을 대상으로 알코올과 당뇨합병증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다.연구팀에 따르면 이들 환자에게 3일간에 걸쳐 첫째날 저녁은 1ℓ의 맥주,둘째날 저녁은 같은 양의 미네랄워터,셋째날 저녁엔 5백㏄의 맥주를 마시게 한 결과 맥주를 마신 첫째,셋째날의 다음날 아침 환자들은 극심한 저혈당증세를 보였다는 것이다.이에따라 연구팀은 당뇨병환자들의 야간 음주는 그 양에 관계없이 저혈당증을 일으킨다고 결론 짓고 국민 계몽에 나섰다.

연세의대 허갑범교수(내과)도 『알코올은 간에서 포도당 방출을 막아 혈당조절에 이상을 가져온다』며 『낮보다 금식기간이 훨씬 긴 밤에 술을 마실 경우 음식물을 통한 포도당섭취가 불가능해지는데다 간에서의 포도당 방출까지 억제돼 저혈당상태가 쉽게 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즉 인슐린에 의존하거나 경구혈당강하제를 쓰는 당뇨병환자는 제때 식사만 하지 않아도 저혈당증에 빠질 확률이 높은데,공복상태가 10시간 이상 지속되는 밤에 술을 들면 포도당을 공급하는 간의 기능까지 손상돼 혈당이 정상치 이하로 떨어진다는 설명이다.알코올은 또 「설포닐우레아」 같은 경구약의 체내 분해작용도 촉진,약물의 효과를 높여주기 때문에 저혈당증을 쉽게 유발할수 있다고 허교수는 경고했다.

저혈당증은 당뇨환자가 인슐린을 너무 많이 주입받거나 영양분이 충분치 못할때 정맥 또는 모세혈관 혈액속의 포도당 농도(혈당치)가 50㎎/㎗이하로 내려가는 상태.체온이 갑자기 떨어지면서 맥박수가 증가하고 두통·시력저하·경련·뇌손상을 동반하며 심하면 혼수에 빠진다.따라서 당뇨환자중에서도 인슐린이나 경구혈당강하제를 투여받는 사람은 항상 저혈당에 대한 경계를 늦춰선 안된다.

허교수는 『인슐린을 쓰는 당뇨병환자가 공복에 저녁술을 마실 경우 십중팔구 저혈당증이 온다』며 불가피하게 술자리에 참석할 땐 미리 식사를 하도록 당부했다.그는 또 술을 마신 뒤에는 반드시 당질을 섭취하고 잠자리에 들기전 한차례 정도 간식을 해야 저혈당을 예방할수 있다고 덧붙였다.<박건승기자>
1994-01-26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