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고국품서 편히 쉬소서”/임정요인 5위 상해서 돌아오던 날

“이젠 고국품서 편히 쉬소서”/임정요인 5위 상해서 돌아오던 날

입력 1993-08-06 00:00
업데이트 1993-08-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항서 봉영식후 국립묘지로/연도시민들 발길 멈추고 묵념

조국광복의 한을 안고 이역땅에서 눈을 감은 선열5위가 그토록 그리던 고국 하늘을 숨쉰 5일 온 국민들은 뜨거운 가슴으로 이들을 맞았다.1시간35분거리인 지척의 중국 상해에 이들을 두고 70여년동안 고국에 유택을 마련하지 못한 안타까움을 간직해온 국민들은 고개숙여 선열의 가르침을 소중하게 간직해 나갈 것을 다짐했다.

▷유해도착및 봉영식◁

이날 상오11시34분 상해를 떠난 임정선열 5위의 유해는 하오1시6분 대한항공 KE6146 특별기편으로 서울 김포공항에 도착했다.

3군의장단의 도열을 받아 입국장을 빠져나온 유해 행렬은 수방사 군악대의 「고향의 봄」이 울려퍼지는 가운데 국제선청사 귀빈주차장에 마련된 제단으로 옮겨졌다.

이날 봉영식은 영정과 유해가 임시분향소에 안치된 하오2시4분쯤부터 황인성국무총리등 정부관계자와 김승곤광복회회장,국가유공자,유가족등 2백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봉영사낭독,헌화,분향의 순으로 진행됐다.

봉영식을 지켜본 박은식선생의 며느리 최윤신씨(77)는 『목이 메어 말이 나오지 않는다』면서 『이제야 먼저간 남편(박시창·전 광복회장)의 소원을 푼것 같다』고 말하며 눈물을 글썽였다.

또 노구를 이끌고 전주에서 올라온 김인전선생의 딸 김영영씨(89)는 말을 잘하지 못해 아들 최순팔씨(54)를 통해 『며칠을 울었는지 모른다.15살때 헤어지고 이렇게 죽기전에 유해나마 다시 만나뵙게 되어 말할수 없이 기쁘다』면서 『이제 죽어도 여한이 없다』고 말했다.

▷운구행렬◁

봉영식을 마친 유해행렬은 하오2시25분쯤 16대의 군용지프와 버스 9대에 선열의 유해와 유족들이 나눠타고 경찰사이드카 20여대의 선도를 받으며 김포공항을 떠났다.

유해봉환행렬이 영등포네거리를 지나는동안 길가던 시민들은 손을 흔들며 경건한 마음으로 유해행렬을 맞았다.

노량진역 주변의 시민들도 노상에서 육교위등에서 잠시 멈춰 서 행렬을 바라보며 뒤늦게나마 유해가 돌아온 것을 다행스러워 했다.

또 시민들중 일부는 유해행렬이 지나는 동안 잠시 고개를 숙이고 묵념,선열들에 대한 추모의 뜻을 표시하기도 했다.▷국립묘지안치◁

유해는 예정보다 10분 늦은 하오3시5분쯤 동작구 국립묘지 현충관에 도착했다.

5위의 영정과 훈장·유골함은 유가족,유관단체 관계자등이 엄숙히 지켜보는 가운데 도열병 15명에 의해 오른쪽부터 김인전·신규식·박은식·노백린·안태국선생의 순으로 현충관안에 마련된 영현봉안관으로 옮겨져 안치됐다.

이어 국회의원대표 장기욱의원과 이충길국가보훈처차장등 2명이 분향·참배하고 유족대표 20여명이 묵념을 올렸다.

백범 김구선생을 20여년동안 모시다 지난 3월 타계한 백강 조경환선생의 사촌계수인 김김이(74)·유남(69)자매는 하오2시쯤부터 영현봉안관앞에 나와 선열 5위의 봉안과정을 지켜보며 묵념을 올린뒤 『이번 영현봉안이 민족혼을 되살리는 계기가 돼야할 것』이라며 남다른 감회를 피력했다.<김재순·박찬수기자>
1993-08-06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